-
-
새집의 첫 번째 거미 - 2019 중소출판사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선정작 ㅣ 튼튼한 나무 34
양지윤 지음, 조은정 그림 / 씨드북(주) / 2019년 10월
평점 :

글 - 양지윤
그림 - 조은정
씨드북
우리는 집에서 산다.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한옥집....
옛날과 달리 요즘은 몇대가 오랫동안 한 집에 사는 경우는 드물다.
오래된 집은 허물고 새집을 짓고 우린 경제적 이유나, 교육적인 이유,
직장에 따라 이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가 일을 하는 직장도 건물안에서 이루어진다.
사무를 보는 사무실이나 물건을 생산하는 공장 등도
상황에 따라 허물어지고 새로 짓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터를 잡는 경우가 많다.
꼭 내 소유의 집이 필요하지 않다는 현대인의 생각,
또 시대의 과학의 발전에 따라 사라져가는 물건, 그리고 새로 등장하는 물건들 때문에
일터는 수시로 바뀐다.
새집의 첫 번째 거미 이야기는 우리의 주거공간인 집과
먹고 살기 위한 일터가 사라지고 새롭게 생기는
이유에 대해 생각을 하고
옛건물에 대한 보존과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는 작가의 생각이 들어있다.

오래된 건물들 사이에 새 집이 지어진다.
오롯이 인간의 뜻에서만 부수어져 사라지고
다시 깨끗하고 가치가 있게 지어진다.
미선나무가 있는 새집에게 푸조나무는
'미선이'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그리고 첫번째 가족을 만나면서 신참답게
주변의 이야기만 그대로 믿고 행동하다가
귀신붙은 집이라는 이름을 남긴채 첫번째 가족들은 떠나게 된다.
미선이는 거미여사와 아기거미들 그리고 길고양이와 강아지들을
품어주게 된다.

오랫동안 빈집으로 있으면서 철거될 위기에 처하는 미선이
집 여기저기에 거미들이 집을 쳐 놓고
길잃은 고양이와 강아지들만 찾는 이곳은 으스스하기만 하다.
그러던 어느 봄 날, 재로가족을 만나게 된다.
말을 더듬는 재로를 이해하고 격려하고 사랑으로 감싸주는 부모.
그리고 미선이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여주는 가족들..
미선이는 그제서야 사람들을 자신의 집에 받아주고
감쌀 수 있는 마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친구들과 새로운 학교생활에 대한 재로의 고민을
가만가만 어루만져주는 미선이는 서로 한 가족이 된다.
재로네 가족은 이민을 가게 되어 미선이와 오랫동안 함께 하지 못하게 된다.
"커서, 다시, 올게."
미선이는 그 뒤로 여러 가족들과 함께 살게 된다.

거대한 굴삭기가 애경이(애경사)를 부순다.
애경이를 사랑하고 지키려 노력했던 꼬마친구 졸찬이는
애경이가 사라지는 것을 너무 슬퍼했다. ㅠㅠ
다행이라면 다행일까, 문화재청이 중지를 요청해서
한쪽 외벽만 겨우 남았다.
이렇게 낡고 오래되고 사람이 떠난 건물은 사람들에 의해 지어지고
사람들에 의해 부숴졌다.

오래 된 친구 푸조나무도 죽고, 또 다시 혼자가 되어
철거 될 날을 기다리던 미선이는
자신을 바꾼 거미여사를 생각한다.
그리고 보고싶은 사람을 불러보며 나를 찾아 와 봐주길 빈다.
미선이의 소원이 이루어진 것일까?
재로가 작은 남자아이와 찾아와 미선이를 마주보고 서게 된다.
이 책에는 우리가 과거에 잘 알고 있던 주요건물들이 등장한다.
조일양조장 - 1919년 10월 남한에 처음 생긴 기계식 소주공장
인천우체국 - 1923년에 지어져 우체국으로서의 소임을 마치고 문화유산이 될 준비 중
답동성당 - 일제강점기 보육원과 학교를 운형해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고
민주화운동에 앞장 선 한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성당
애경사 - 1912년 인천에 세워진 비누공장
이 짧은 건물들의 소개만 들어도 우리 역사에 이바지한 일은 참 크다.
오래된 것은 무조건 없애고 버려도 되는 건 아니다.
우리가 지키고 보존해야 할 우리의 역사이자 문화재이다.
건물들을 소재로 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너무나 쉽게 사람들의 편의에 의해 지어지고 허물어지는
현대의 건물들에 대해 생각했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도 오래된 건물이라
새롭게 태어날 준비 중이다.
안전에 문제가 있다면 생명에 위협을 받기 때문에
새롭게 지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동안 우리가 비를 피하고 햇볕을 피하고
가족과 따뜻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준 고마움은 잊지 말아야겠다.
"새로운 바람이 불어 올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