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생각하는 아이
안노 미쓰마사 지음, 황진희 옮김 / 한림출판사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지음 - 안노 미쓰마사

옮김 - 황진희

한림출판사

 

 

표지에 여러 남녀 아이들이 등장한다.

표정도 자세도 다 다르지만

무언가 찾고, 고민하는 '생각하기'를 표현하는 것 같다.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아이 혼자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 같다.

 

아이들은 자신이 흥미있고 궁금하고 재미있는 일엔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으로 옮긴다.

어른들이 개입해서 생각하기를 시키면

몇명이나 집중하고 이해를 할까?

대부분 지루해하거나 이해하기 힘들어 할 것이다.

이것은 아이들이 원하고, 흥미를 느끼고, 알고자 할 때

스스로 생각하기를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 아이들은 결과에 만족해 한다.

 

이 책은 그림책 작가 안노 미쓰마사가

'어린이, 배우다, 생각하다'에 대해 쓴 에세이다.

 

<어린이에 대해서 생각하다>

 어른과 다른 아이들의 생각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내용이다.

한마디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라는 내용이다.

어른의 시점에서 보면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은 답답하고

꾸지람을 듣기 딱 좋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살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고

마음이 풍부한 어린시절을 보낼 수 있도록

부모가 도와주는 것이다.

 

<배우는 것에 대해서 생각하다>

작가는 문제를 푸는 것에 있어서 "발견하는 재미"에

대해 이야기 했다.

하지만 아이가 무지에서 유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할까?

무언가 제시가 되어야 하고 밑거름이 있어야 더 튼튼히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문제를 풀기 위해선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있어야

문제를 풀 때 스스로 이렇게 저렇게 적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불의 원리와 이로움과 해로움의 기본지식을 알지 못하고

불을 사용했다가 다칠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해를 입힐 수도 있다.

내가 스스로 생각하고 발견하는 재미를 알기 위해선

기본은 알고 있어야 할 것 같다.

 

<스스로 생각하기 위한 실마리>

작가가 쓴 이 내용에 대해선 공감이 간다.

10번 이야기 듣는 것 보다 한번의 경험이 더 큰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아이가 직접 오감으로 느끼는 것이 곧 배움인 것이다.

 요즘은 인터넷이 아주 잘 발달되어 있고 접하기가 쉽다.

그리고 사람들은 뉴스, 인터넷등에서 본 것은 모두 의심하지 않고

받아들이게 된다.

내가 직접 보고 듣지 않은 것에 대해선 한 번 의심을 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해서 내 것으로 오롯이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도 보여지는 것만 믿지 않도록 이야기 한다.

 

 

-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가 스스로 깨닫고 이해하고 넘어 갈 수 있도록

해주었는지 곰곰이 생각하며 반성을 했다.

천천히 이해하고 스스로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내가 방해한 것은 아닌지

답답한 마음에 다그치고 설명을 먼저 해버려

아이가 스스로 찾는 기쁨을 빼앗은건 아닌지 반성을 했다.

조금은 느려도 아이가 배움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어야겠다.

 

스스로 생각하고 옳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물꼬를 터주는 것도 부모의 역할인 것 같다.

 

저자는 아이 스스로 모든 것을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

물론 결과는 긍정적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공과 같다.

좋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지만 나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무조건 아이에게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부모로서의 역할은 해주면서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배움의 깨달음을 통해 기쁨을 만끽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할 것이다.

 

나 역시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생각만 옳다고 여기지 않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고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비판을 해보면서

좋은 독서 시간을 가졌다 .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이 아닌 지구가 도는 것이다라고 발견했을 때의

감동이 얼마나 컸을지 예시를 든 부분이다.

스스로의 힘으로 발견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란 내용에

제일 공감이 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