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인간적인 삶
김우창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페렐만으로 시작하여 페렐만으로 끝나는 이 책은 저자의 가늠하기 어려운 사상적 넓이와 깊이로 인해 무슨 말을 전하려 하는지 참으로 난해하기 짝이 없다. 물론 나의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사상적 편협함이 가장 큰 이유이겠지만…….

나는 저자의 사회와 정치에 대한 통찰력에 대해 의구심을 버릴 수 없는 이유를 나름대로 지적하고 싶다. 이 책의 도입부에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그런데다가 현 정부는 신자유주의에 대하여 비판적인 진보적인 정부다…….`- p.30 -

난 이 글을 보는 순간 정신이 확 들었다. 노무현 정부가 신자유주의에 비판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정부라고 저자는 보고 있는 것이다. 대기업 노조와 민주노총을 비난하고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정부가 진보적이고 신자유주의 비판적이라고 하신다. 노무현 정부가 신자유주의에 비판적이며 진보적인 가치를 중시하고 개혁적인 정부가 되라고 찍어 주었다가 배신감에 치를 떨고 있는 국민들은 뭐란 말인가?

과연 `가늠하기 어려운 사상적 넓이와 깊이로 인해 우리시대의 대표적인 인문학자로 평가된다.`라는 저자에 대한 세간의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신문 몇 줄 읽어 보면 알 수 있었던 상식적인 내용을 대교 수님께선 모르고 계셨던 것일까? 아니면 신자유주의자들을 극구 옹호하는 극우 보수적인 신문에서 떠들어 대던 노무현 정부에 대한 비판을 진보주의 자에 대한 비판쯤으로 여기셨던 것은 아닐까?

어디에 가나 대 학자님의 저서에는 꼭 `가늠하기 어려운 사상적 넓이와 깊이로 인해 우리시대의 대표적인 인문학자로 평가된다.`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니는데, 그렇게 평가하신 분들은 과연 30페이지에 등장하는 저 이상한 주장을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기 만하다.

명말의 대학자 이탁오 선생은 그의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이 50 이전에 나는 정말 한 마리 개와 같았다.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어대자 나도 따라 짖어댄 것일 뿐, 왜 그렇게 짖어댔는지 까닭을 묻는다면, 그저 벙어리처럼 아무 말 없이 웃을 뿐이었다.”

이는 유교의 교조주의를 비판하고 통렬한 자기반성을 통해 진정한 학문의 길을 가려는 대학자의 자기 자신과 주류 유교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었던 것이다.

나는 저자에 대한 세간의 평가가 50이전의 이탁오 같은 사람들의 지식권력에 대한 맹목적인 짖음이 아닐까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참여정부에 대한 저자의 평가는 대학자의 사소한 실수인가, 아니면 치졸한 인간의 못된 물어뜯기 본성의 희생양인가???

이 책을 읽고 사실 페렐만의 자유의지와 삶의 태도를 알게 된 것만 해도 큰 소득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명예와 부를 포기하고 자유의지에 따라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그에 비해 돈과 명예에 이끌려 인생을 진정한 자유의지를 실현하지 못하는 우리네의 삶은 어찌 보면 일차원적 이거나 2차원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요즘 신문 지면으로 자주 접하고 있는 김 교수님의 글은 우리에게 자상하게 다가오지 않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었지만 역시 대부분 이해하기 힘들었다. 김 교수님의 글쓰기는 내게 모호함으로 다가왔고 친절하게 이해시켜 주시지는 않는 분이라 느껴졌다. 오늘도 신문에서 선생의 글을 접하였지만 자꾸 산만하게 느껴지는 논점 때문에 읽다 포기하고 말았다.

앞으로 그 모호함과 산만하게 느껴지는 논점을 극복하는 게 나의 과제로 느껴진다.

고려대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아직도 우리에게 고견을 들려주시는 대학자를 존경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러나 지식이 권력이 되고 그 권력 앞에 맹종하는 지식 장사치들의 모습은 자유의지를 실현하지 못하는 저차원의 인간일 뿐이다.

어쩌면 대학자의 깊은 성찰과 고견을 이해 못하는 나는 얕은 지식으로는 비판을 위한 비판에만 능할 뿐 나 또한 자유의지를 실현하지 못하는 저차원의 인간임이 아닐까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yadic1 2011-03-27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렐만에 대해서 알려면 오히려《100년의 난제 :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를 한번 읽어 보는 것이 좋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