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디 시티는 대한민국 음악 시장에서는 희귀한 Funk를 선보였던 아소토 유니온 해체 이후 리더였던 김반장이 주축이 된 레게/소울 밴드로 2005년 [Love Record: Love, Power And Unity]로 데뷔했다. 
아프리카 음악인 레게, 살사 등 음악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하는 유니크한 밴드이다. 



지난 주말에 이장희의 '그건 너'를 독특한 편곡으로 연주해 감탄을 자아냈다길래

뒤늦게 찾아 봤는데 역시 윈디시티, 참 물건이다...

김반장의 그 독특한 흐느끼는 리듬감은 아소토 유니언의 이 곡이 압권 아닐까. 

지금 윈디시티의 레게도 흥겹지만, 이 노래를 처음 들었을 때의 충격이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2-09-04 14: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에 이런 밴드가 있었군요!!!
암튼 한씨님 덕분에 많이 알게 된다니까요!!!^^

hanci 2012-09-05 1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은 없어졌지만 예전엔 CF 배경음악에도 쓰인 적도 있어요
 

90년대 학창시절의 추억을 소환하는 "응답하라 1997"

건축학 개론의 성공도 그렇고, 90년대 학번들이 경제적 여유가 생기고 문화 소비의 주체가 되었다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여전히 지금, 여기의 현실이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게 자꾸만 뒤를 돌아다 보고 추억을 소환하는 주된 이유겠지...


그나저나 뮤직드라마처럼 시종일관 나오는 90년대 음악들은 요즘 말로 참으로 '추억 돋는' 음악들이다. 

그때가 정말 대중음악의 전성시대 혹은 황금기 였던 걸까. 

하지만 70년대, 80년대에도 대중음악은 훌륭한 노래들, 가수들로 넘쳐났다. 

90년대 음악이 명곡처럼 들리는 건 아마도 7,80년 노래와는 달리 '내' 노래라는 느낌 때문이겠지. 

박쉐프에게 추억의 절반이 맛이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추억의 절반은 오히려 노래 아닐까... 

그리고 내게 그 나머지 반은 영화겠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12-09-04 15: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 추억돋네요,,ㅋㅋㅋ
더구나 헤어스타일이며 패션이 완전 추억 자라게 하는,,,ㅋㅋㅋ

hanci 2012-09-05 1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동안 7080이 대세더니 이젠 90년대 인기가 좋죠?
 

프랑스 레트로 소울 싱어 Ben L'Oncle Soul의 셀프타이틀 메이저 데뷰작 [Ben L'Oncle Soul]!!!

2009년 셀프릴리즈 앨범 [Soul Wash]로 데뷰, Gnarls Barkley의 'Crazy', Katy Perry의 'I Kissed A Girl'을 리메이크했던 커버 EP앨범으로 주목을 받은 그는 재즈스타일의 감칠맛나는 보컬과 리듬감으로 듣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이름부터 소울에 충만한 벤 롱클르 소울.... 

어린 나이에..라고 쓰려다 찾아보니 1984년생. 제임스 모리슨이랑 동갑 ... 

구성지고 찰진 목소리가 브루노 마스도 연상시키는 프랑스 뮤지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2-09-04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어린걸요!!!
나이 생각하고 싶지 않지만,,ㅠㅠ
춤추고 노래 잘하는 사람들이 젤로 부러운데 한씨님 서재에 오면
없는 재능이 마구 자라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좋아요,,ㅎㅎㅎ

hanci 2012-09-05 1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춤추고 노래 잘하는 재능이 젤 부러워요. 그림 그리는 재능도. 그러고 보니 저는 예체능엔 참 미숙하네요..
 

최선을 꿈꾸는 게 아니라 최악이 아닌 현실을 다행으로 여기는 여자. 

매일 도시의 경계를 넘으며 평온한 풍경과 그 뒤에 숨겨진 황폐한 삶의 경계를 넘나드는 여자.  

일어나지 못하는 남편과 일어서지 못하는 딸을 위해 자신의 삶을 버텨가는 여자. 

누구보다 질기고 누구보다 잘 참아서, 누구보다 안타까운....

그녀, 윤영에게 들려주고 싶은 노래가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2-08-23 1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큰조카 이름이 윤영이에요. 최윤영.
갑자기 조카 생각이,^^;;

저는 아직 읽어보지 않은 책이고, 읽게 될 지 모르는 책이지만
올리신 글을 읽어보니 정말 최백호의 이 노래가 윤영이라는 주인공에게 위로가 될 것 같아요.

그런데 최백호 씨 많이 늙으셨네요!! 그래도 멋이 풍기시지만 이젠 중년의 그 느낌은,^^;;
하지만 낭만에 대하여를 부르던 그의 모습을 보면서 멋있다고 느꼈던,,,목소리는 그대로에요.^^
오늘 같은 날에도 분위기 딱 잡히는 노래구요!!^^

hanci 2012-08-24 16: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백호의 목소리는 가을 분위기에 잘 어울리죠 ^^
 

자국인 미국은 물론 영국의 BBC 방송국, 그리고 호주와 일본을 비롯한 전세계 블로거들에게 어필해내면서 점차 그 세력을 확장해나갔던 메사추세츠 출신 일렉트로 팝밴드 패션 핏(Passion Pit)은 씬에서 꽤나 중요한 자리를 점거해낸다.

80년대 신시사이저와 드림팝스러운 리버브, 그리고 훵키한 리듬을 하이톤의 보컬에 맞물려내면서 MGMT, 그리고 80키즈(80kidz)의 팬들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기도 했다.

좀 더 긍정적인 무드의 M83같기도 했고, 누군가는 플레이밍 립스(Flaming Lips)의 일렉트로닉 버전 같다고 얘기했던 바도 있었다.

하지만 앞에 언급한 이들보다는 캐치하고 현대적인 기분을 만끽하게 해줬고 때문에 일반 팝팬들 또한 쉽게 사로잡을 수 있었다.


좋아하는 밴드의 새로운 앨범이 나오면 오히려 익숙한 예전 앨범을 다시 찾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