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에서 주는 자본주의에 대한 함의.
지금까지 <자본론>에 대한 해석을 두고는 여러 정치·경제학자들은 앞다투어 논의해왔다. 그리고 아직도 <자본론>에 대한 유효한 논의로는 남아 있다고 인정하는 사람들이라면, 대부분은 <자본론>에 대한 비판에만 지면을 할애했다는 사실마저 받아들일 수 밖에는 없다. 한국에서는 특히 <자본론>은 해석에 따른 소위 지식 계급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소시민적인 견해나, 서민주의로만 입각해서, 내용을 전개해왔다는 점은 우리로는 심각하게 잘못됐다고 비판할 수 있고, 또한 그래야만 한다고 본다. 그러한 서민주의를 토대로 전개했던 대중 관념은 여러 혁명에 대한 발상에서 전환으로 가로막거나, 개량으로만 기각하기에 이르렀고, 새로운 생각을 전개할 수 없도록 방해만 주는 그저 '자유로운 연대'만이 공고하게 머물도록 돕고는 말았다.
우리로는 정작 앞서기만 하고 맞서지는 못하는 그러한 '자유로운 연대'가 지닌 치명적인 흠도 지적하지 않을 수는 없다. 문제는 경제 조직이었고, 또한 그들도 아무리 마르크스 말을 따라잡고자, 경제주의이니, 서민주의이니, 제2인터내셔널이니라는 청산주의에 대한 말을 수시로 언급해봤자. 그들에 대한 비판은 혁명 운동에 있어 비판으로도 아직까지 유효하고, 또한 문제를 더욱 올바르게 보고자 세심하게 지적할 줄도 알아야만 한다고 본다. 따라서 <자본론>이란 여전히 새로울 뿐만 아니라, 꼭 그래야만 하고, 또한 잘 따질 줄도 알아야만 한다고 본다. 실천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도 간과하기 쉬운 이론에 있어 자본주의에 대한 핵심이자, 본질에 다가가는 주장들도 파악하고, 분명한 태도로 일관해서 요구할 수 있을 때에만. 그리고 같은 전체적인 울타리를 조망하고, 또한 세부적으로도 깊게 따져볼 수 있을 때에만, 비로소 <자본론>에 대한 마르크스와 엥겔스, 성과를 보이도록 또 이뤄낼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여기서 <자본론>을 다시 읽는다는 건, 그저 일반적인 토론과 논쟁으로만 그치는 게 아니라 바로 이론과 실천에 대한 통일이자, 또한 새로운 사고로부터 혁명 발상과 뚜렷한 토대로부터, 그리고 같은 일반 사고 논리에 대한 변증법 비판에서부터, 배울 수 있는 점을 작은 한 걸음이더라도, 여러 가지로도 연구할 수 있을 때에만, 비로소 <자본론>을 읽고, 또한 공산주의라는 최종 목표로도 올바로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단지 막연한 경제주의 논리에 갇혀버리고만, 그들 역시나, 우리로는 비주류로만 머물고자 했었던, <현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이라는 틈바구니에서도, 그리고 그러한 아류적인 해석에 대해서도, 우리로는 날 선 비판으로 응대할 가치는 충분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낡고, 오래된 체제로부터 아직도 끝날 수 없는 비판.
여러 논쟁들을 종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에도 맞서서도. <자본론>에서 배울 수 있는 점을 독단으로 갇혀 읽거나, 혼자 알고 있기보다는 더욱 나누고자 했다. 그리고 모든 운동들에 대한 일반적인 배신 경향이나, 일부 추종된 흐름까지도 더욱 날 선 비판으로 날카롭게 가하고자 했고,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대한 <자본론>과 여러 저작들에서도 주는 교훈과 함의를 매일 곱씹으면서도, 자본주의라는 뼈 아픈 현실에서도 더욱 앞서 맞서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