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이나, 서아시아에서는 활발한 내전이나 전쟁에서도 보이는, 제국주의 질서로부터 빠르게 흡수되거나, 미약한 투쟁들도 보이지만, 정작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한 계급 투쟁에 대한 과학적인 견해들이나, 소비에트로부터 배울 수 있는 교훈들을 일부만, 적용한다는 특징은 있다. 그리고 계급 투쟁이라는 뚜렷한 성과를 잘 보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두 국가 지역으로도, 훨씬 더 폭 넓은 혁명에 대한 수입이나, 수용을 이론적으로 전달해야 할 임무는 있어 보인다.
바로 유럽이라는 국경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지만, 동유럽과 서구식 문화를 혼합(융합)하거나, 받아들인 사람들로는, 자칫 동아시아에서도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움직임이 매우 빠르고, 특히나 중국, 베트남만이 아니라, 여러 국가들에서도, 독재에 대한 반대하고, 민중을 중심으로 한, 일부 계급 투쟁이나, 독재 정권에 대한 반발을 요구하거나, 민주화로부터, 착취를 고발하는 내용들도 있어왔다. 그러나 어느 국가든, 동아시아에서도 다음으로는, 혁명에 대한 전망으로 나아가지는 못했는 데, 특히 시베리아로부터, 시작한 마르크스주의 운동들은, 매우 척박한 환경에서도 옆 국가들로부터, 이론들을 수입하거나, 비록 대부분은 망명지였음에도, 혁명가들을 양성할 수 있도록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들을 수입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 특히 극동 아시아를 따로 다루는 이유란 바로, 레닌을 비롯한 볼셰비키들에 대한 주 활동지이자, 무대가 바로, 여기였기 때문이고, 공산주의 운동들도, 어떻게 확산할 수 있었고, 또한 계급 투쟁이라는 성과와, 볼셰비키는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로 어떻게 옮겨갈 수 있었는가를 세부적으로도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간과하기 쉽지만 일부 러시아 급진주의 운동과도 어떤 점에서, 무엇이 매우 달랐는지도 말할 수 있다.
- 시베리아.
- 동아시아.
- 만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