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과학적인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완수한 뒤로 가정한다면, 몇 가지를 적용해볼 수 있는데,

이를테면, 문화에서도 해당한다. 우선 익숙한 자본주의 체제 속 사회에서도 

누리던 자본 문화들은 폐기하고 모두 일정한 혁명으로 도달한다. 

그리고 지배적이기만 하던 부가적인 양식들은 폐기하거나, 

맨 나중으로는 완숙한 무산 공산주의로 정점을 누릴 수 있겠다.  

각 운동이나 투쟁 내용들도, 공산주의 속으로 잘 구분해서 다룰 수도 있다.   

완수한 프롤레타리아트들은 보다 신중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자본가들을 위해서만 일하던 노동가들도 척박하기만 하고, 턱없이도 부족하기만 하던 

여러 시설을 위해 직접 계획하거나, 제작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방송국. 


작은 혁명 방송국이라도 있었으면 한다. 

전에는 거의 매번 라디오랑 대화했었다. 

현 사회로는 어느 라디오를 청취해봐도, 방송이라는 매체를 시청해도,  

자극적이고, 눈 아픈 영상이 책보다 유익한 적이 있던가.   

자본주의를 선전하고, 제국주의를 선동하는 매체는 끄고, 

프롤레타리아트로는 혁명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우습겠지만, 내용들도 주로 공산주의 혁명사로 옮겨진다. 


도서관. 


공산주의를 주로 다루는 도서관이다. 

대부분은 혁명 서적으로 비치한다. 

마르크스를 중심으로 모아 놓은 곳이다. 

번역하고, 정리해서, 책으로도 잘 묶어 모아 분류마저 잘 된 곳이다.  

그리고 지루하지 않도록 공원을 조성하고, 편하게 연구할 수 있는 자료실도 잘 꾸민다.  

빌릴 때도 밀리지 않도록 충분한 서적들은 여러 권 있다. 

또한 검열마저 생각하던 우리말 문제를 제대로 다룰 수 있다. 


보급소.


완수한 혁명에 대한 본보기로는 역시 경제 문제이다. 식사 중요하다. 그러나 식량은 선택에서도 더 중요하다. 이전까지 자본주의 경제로는 식량 생산이나 보급들은 유통에서도 부패하거나, 노동 과정에서도 부실한 식사마저 참 많다. 개발과 계발에만 몰두한 탓에 말만 앞섰지, 정작 농촌 지역에 대한 관심은 더욱 부재해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제 문제로는 필요하다면 따로 공동 운영 식당을 정하거나, 시장 경제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자율적이기 때문에 계획하고 생산물에 대한 분배로는 신중하게 다루고, 계산한다. 더 필요한 사람들에게도, 능력만큼 일하기 때문에, 폭 넓은 생산물을 분배 받거나, 직접 생산할 수 있다. 그래서 가격 경쟁 따위가 아니라, 직접 생산물에 대해서는 소외를 받는 착취 노동이 아닌, 보람을 얻는 일이다.      

    

두 영화를 추천한다. 


1. 라울 펙, <청년 마르크스>.


2. 스티븐 소더버그, <체 게바라>. 


두 영화로는 모두 자본주의 상업 영화로 제작하고, 수입했기 때문에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