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지 않는 대화 - 2,400년간 성공하는 사람들만이 알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화 전략
다카하시 겐타로 지음, 양혜윤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지지 않는 대화》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토대로 변론술을 익혀 상대를 설득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인생은 누군가를 설득해야 하는 일의 연속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내용의 충실함은 기본이고, 듣는 사람의 감정을 살펴야 하며, 말하는 사람의 인성에 이르기까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토포스라는 설득의 공식으로 설명하는데, 『수사학』을 완독하기란 만만치 않다. 이에 저자는 보다 쉽게 풀어쓴 실용서로 소개해 눈길이 갔다.
로고스, 파토스, 에토스는 우리에게 너무 익숙하다. 그러나 실제 설득의 기술에 얼마만큼 적용하고 있을까?
본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알맹이가 없는 소피스트들의 변론술에 대한 안티 테제로 쓰인 책이라고 한다. 허무맹랑한 소리에도 옳고 그름을 구별해 상대를 설득하는데 성공하고 싶은 독자라면 눈여겨보면 좋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변론술이란 어떤 문제든지 그 각각에 대해 가능한 설득 방법을 발견해 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한다. 쉽게 말하면 특별한 지식이나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이란 의미다.
먼저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 변론술을 배워야 하는 이유를 크게 네 가지로 꼽는다.
첫째,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둘째, 상대방의 기준에 맞춰 설득할 수 있다.
셋째, 나와 반대되는 의견도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악질적인 말의 기술로부터 나를 지켜낼 수 있다.
이외에도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을 익히면 모든 상황에서 사람을 설득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고 덧붙인다. 이를테면,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이 생기고, 문제의 본질을 간파하는 힘이 생긴다. 또한 정확한 소통 방법을 익힐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나의 주장을 관철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변론술을 익히면 말로 사람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상식을 출발점으로 삼아 납득을 거듭하며 설득하고, 내가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어떻게 들리는지에 집중한다. 결국, 설득의 성패는 청중에게 달려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방의 상식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야 하고, 나만이 옳다는 생각을 버릴 때 논리가 시작된다는 점을 주지시킨다.
이외에도 논쟁도 하기 전에 이기는 말의 공식, 듣는 사람을 장악하는 말의 심리학, 호인으로 각인되어 상대를 내 편으로 만드는 화법 등 현존하는 최고의 화술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은 말하기 기술이 가득 녹아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강력한 기술을 익히고 싶다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펼쳤다가 중도 포기한 분들이라면,
《지지 않는 대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의 기술을 터득해 보시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