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크라 문서
파울로 코엘료 지음, 공보경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9월
평점 :
이 책의 ‘들어가는 말’을 읽으며 바로 떠오르는 책이 하나 있었다. 움베르토 에코의 그 유명한 소설 <장미의 이름>. 중세에 어느 수도사가 남겼다는 책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는 스토리텔링이 파울로 코엘료의 <아크라 문서>에서도 그대로 반복된다. 적당한 사실(나그함마디 문서)에 배합되어 양조된 작가만의 이야기가 노도와 같이 들이닥친 프랑크 십자군의 공격 앞에 그야말로 바람 앞의 등불 같은 운명에 처한 성도 예루살렘에 사는 사람들이 현자로 추앙하는 콥트인과의 질의응답으로 현현된다.
개인적으로 나와 파울로 코엘료의 서술 양태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해 왔고, 이번 <아크라 문서>를 읽으면서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됐다. 사실 이번 <아크라 문서>를 읽기 전에 나의 기대는 십자군 원정과 관련된 어떤 역사적 사실 그게 아니라면 그저 당시 함락을 목전에 둔 예루살렘 사람들의 목소리가 듣고 싶었다. 코엘료는 나의 기대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현세를 사는 이들이 원하는 대답이 아닌, 아포리즘으로 가득한 은둔자의 현답이 중심을 이룬다. 그것은 마치 동양의 고승들의 선문답을 연상케 한다. 그리고 어쩌면 이 책을 읽는 대개의 독자가 이미 아는 답이 아니었던가.
각각의 다른 의미를 가진 성도 예루살렘 거주민을 대표하는 랍비, 이맘 그리고 사제가 모여 아테네 출신 콥트인에게 묻는다. 바로 내일이면 성도에 들이닥쳐 마구잡이 학살을 일삼을 대적을 앞에 두고 어찌 패배, 고독 그리고 고독과 짝을 이룬다는 사랑, 아름다움 그리고 섹스에 대해 이렇게 무사태평하게 말할 수 있단 말인가.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던 스피노자의 철학관이 시대를 앞서 투영된 느낌이랄까.
고대 기독교의 그노시즘(영지주의)을 떠올리게 하는 코엘료의 신비주의는 절대자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그 실체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회피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책의 초반부터 콥트인이 굳게 믿는다는 모이라(미지의 신, 신성한 힘)에 대한 언급은 정확하게 그노시즘의 정수를 관통한다. 불가지론과 영지주의를 오가며 현란한 수사를 보여주는 작가의 의도가 과연 무엇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코엘료는 콥트인의 입을 빌려 사랑에 대해서도 논한다. 사랑을 신의 영역으로 그리고 고독은 인간의 영역으로 나누면서, 존재하지 않는 내면의 공허가 고독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무관심이 부유하는 세상에서 노인들은 비로소 자신이 호되게 배운 삶의 지식 혹은 진실을 젊은이들과 공유하려고 하지만 그들은 들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누굴 원망할 것인가? 세상은 변화시키겠다고 종교에 귀의해서 신자, 전도사 그리고 광신자의 길을 걷는 이들에 대해서도 조심할 것을 권유한다. 세상만물은 제각각 존재의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 선(virtue)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그렇다면 그 대척점에 서 있는 악(evil)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한 것인가? 코엘료의 서술대로라면 히틀러와 홀로코스트도 역시 그 존재의 이유가 설명된단 말인가.
상인의 아내가 던진 섹스에 대한 질문도 흥미롭다. 난 질문 자체보다 누가 그 질문을 했는가가 더 궁금하다. 왜 하필이면 상인의 아내일까? 나그네의 아내도 있을 것이고, 내일이면 전장에서 피를 흩뿌릴 전사의 아내도 있을 것인데 말이다. 성에 대한 일반론은 차치하고, 어김없이 등장하는 ‘신성한 힘’이 내게는 허무맹랑하게만 들린다. 그는 이 신성한 힘을 독자에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저 ‘모이라’라는 게 있다. 세상 만물의 운행이 이 정체를 알 수 없는 모이라의 질서와 규칙에 따라 움직인다고 주장한다면 동의할 수 있는가. 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코엘료가 주장하는 정체불명의 신비주의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지만, 공동체와 단순함 그리고 매일매일의 노동에 대한 이야기는 수긍할만하다. 공동체 구성원의 한계, 두려움과 편견의 고리를 공격해서 표준화된 행동과 사고를 요구하는 것이 바로 공동체를 위협하는 요소라고 그는 지적한다. 올바른 지적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가장 경계해야할 것이 바로 이런 전체주의적인 발상이다. 멀리갈 것도 없이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상황이 그렇지 않은가. 시대를 역행하는 듯한 사건사고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벌어지는 세태를 꼬집어 말하는 것 같은 느낌에 통쾌함마저 들었다. 소수의 의견에 대해서도 그 가치를 인정하지 못할 정도로 우리 사회가 미숙하다는 반증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씁쓸해졌다.
시간을 팔아 돈을 버는 노동에 대해서도 코엘료는 일침을 가한다. 그렇다고 해서 누구나 다 그의 말대로 도전의식을 가지고 모험에 나설 수 있는 건 아니잖은가. 엉뚱하게도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늙어지면 못노나니’라는 노래 가사가 떠올랐다. 나이가 어느 정도 들고 나니 그 말처럼 와 닿는 것도 없더라. 젊어서는 돈이 없어 놀지 못했고, 어느 정도 경제적 여유가 생기자 시간이 부족해졌고, 그 두 가지가 다 충족되니 이젠 체력 때문에 놀 수가 없더라는 지인의 말이 떠올랐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인간은 누구나 다 죽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굳이 외면하며 살고 있다는 사실도 새삼스럽지 않은 이야기다. 인간은 유한한 존재라는 걸 다시 한 번 상기시켜준다. 다양한 불안의 장막은 인간 최대의 적인 강박과 상통한다고 말했던가. 제어가 불가능한 시간의 포로가 되어 아등바등하는 삶의 진실 앞에 다시 한 번 숙연해질 따름이다.
<아크라 문서> 곳곳에 보이는 성경 구절을 보며 이런 생각이 불현 듯 들었다. 만약 성경에 대한 저작권이 있었다면, 바로 코엘료 작가는 피소당했겠지? 그 정도로 <아크라 문서>에는 성경에 나오는 다양한 구절들의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이 차고 넘친다. 난 그에게 이야기를 원했다. 이런 아포리즘의 지리한 행렬은 내가 코엘료에게 기대한 게 아니었다. 여전히 나와는 가까워질 수 없는 작가의 책 속에서 길을 잃었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