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문학들이, 영화들이 우리가 믿는 인간성이라는 것이 얼마나 얄팍한 것인지, 얼마나 쉽게 껍데기를 벗고 추악한 본성을 드러낼 수 있는지 고발한다.
예전에 보았던 '28일 후에'라는 영화에서도 진짜 무섭고 경멸스러운 존재는 좀비처럼 변한 병자들이 아니라 자신의 욕정을 해소하고 종족을 번식시키겠다는 기만적인 논리로 여자들을 겁탈하고 이를 막으려는 동료 등 다른 사람들을 살해하는 군인들이었다.
포르투갈 출신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자들의 도시'는 그 상상력의 독창성이 놀랍고 인간성 상실의 과정을 매우 치밀하게, 그리고 너무나 설득력있게 묘사하여 누구나 수긍하게 만드는 보편성을 지닌다. 장정본으로 꽤 두꺼운 분량이지만 날밤을 새며 먹어치우듯 읽어 제낄 수 있을 만한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소설은 어느날 횡단보도에 차를 정차시키고 있던 한 운전자가 갑자기 눈이 멀면서 시작된다. 정체불명의 '실명' 바이러스가 도시를 휩쓸고 사람들은 공포에 질려 실명인들을 격리 수용한다. 하지만 수용소를 지키던 군인들도 하나둘 실명하고 도시는 완전히 백색의 어둠속에 빠져든다.
결국 눈이 보이는 사람들이 세운 문명은 완전히 통제불능 상태에 빠진다. 전기도 없고 수돗물도 없고 거리는 사람들의 오물로 넘치고 온통 더듬더듬 먹을 것을 찾아 헤매는 벌거벗은 사람들, 먹을 것을 하나라도 더 쟁취하기 위한 전장으로 변한 도시… 이 도시에 과연 희망은 있는 것일까?
특이하게도 이 소설에서는 단 한사람도 고유명사를 부여받지 않는다. 사람들은 오직 색안경을 쓴 여인, 의사, 의사의 아내, 최초로 실명한 남자, 군인, 깡패 등 간접적인 방식으로 지칭된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적당한 거리두기를 하면서 관찰자의 입장을 견지하도록 만드는 요소이기도 하면서, 눈뜨고 있으나 보지 못하는 눈 먼 자들이 지배하는 이 세계 일반에 대한 거대한 은유로 이 소설을 읽히게끔 만드는 장치로 작용한다.
수용소에 감금된 상태에서도 식량과 귀금속과 여성의 성을 힘으로 약탈하고 살인마저 저지르는 일단의 무리, 실명자들을 재빠르게 격리 수용하는 정치인들과 수용소를 감시하는 군인들, 눈이 보이지 않음으로써 순식간에 무질서의 혼돈에 빠져버리는 세상을 보며 우리가 세운 문명의 허망함과 정치권력의 야만성과 인간소외를 생생히 목격하게 된다.
마지막에 제시하는 작가의 낙관적인 희망이 가슴을 쓸어내리는 안도감을 주는 것은 눈 먼 자들의 도시가 너무나 끔찍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우리는 눈 뜨고 있는 게 맞는가?
소설의 대미는 작가의 희망이자 경고일 것이다.
- 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 거죠. 모르겠어.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