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지정사기 원지정사기
축정사우북림 범오간 동위당 서위재 북림에 정사를 지었는데 5칸 건물이다. 동쪽이 당(堂)이고 서쪽이 재(齋)인데
유재북출 우전이서 고위루이부강수 재에서 북쪽으로 나가 다시 돌아 서쪽에다 높게 누각(연좌루)을 지어 강물을 굽어 볼 수
있게 했다.
기성 편기액왈 원지 호수등망지미불 건물이 완공되어 편액을 달았는데 '원지'라 했다. 여기에 호수와 산을 조망하는 아름다
움은 담지 않았다.
식언 객의기의 여고지왈 원지본약명 객이 '원지'의 뜻을 궁금해 하기에 내가 일러 주었다. "원지는 본래 약초의 이름으로
일명소초 석 진인문사안왈 원지소초 일명 '소초'라고도 한다네. 옛날에 진나라의 어떤 이[환온]가 사안에게 묻기를 '원지와
소초는
일물 이하위이명 혹왈 처위원지출위 한 물건인데 어찌하여 두 이름이 있는 것이오?'하니 (옆에 있던) 어떤 이[학륭]가 사안
대신 말하길 '산에 있을 때는 '원지'라 하고 산을 나오면
소초 안유괴색 여재산 고무원지 출이 '소초'라 합니다(사안이 은거를 고집하다 환속하여 출사한 것을 비꼰 말).'하니 사안이
자못 부끄러운 얼굴 빛이 되었다고 하네. 나는 산에 있을 때도 본디 원지의 큰 뜻이 없
었거니와
위소초 즉고야 시유상류자 우의가이 소초같은 보잘 것 없는 인물이 되었으니 (참으로) 고루하다고 할 만 하네. 이는 사안의
고사와 유사한 면이 있다고 할 것 일세. 또 의가(醫家)에서는
원지전치심기 능발혼익협 여연래환 원지를 가지고 심기(心氣)를 다스려 혼몽과 협애함을 치료한다네. 내 여러 해
심기 매이약 첩용원지 기공불감망 인 심기가 병들어 매양 약을 복용할 적에 원지를 복용했으니 그 공을 잊을 수 없다네.
추류이인기의 치심지설 역유자상담 이 일로 '원지'라는 약의 의미(뜻을 크게 함)까지 취했으니 치심(治心)에 관한 말은 우
리 유자들이 항용하는 말이잖은가?
여차수의 개가위재호 이사후서산적 '원지'란 재호(齋號)는 이런 내용들과 어울린다고 할 수 있을 것일세. 게다가 정사 뒤 서
산에 마침
산원지 매산우시지 청취수가조위정 원지가 나서 매양 산비가 내릴 때면 청취하고 아름다운 모습이 정사의
사유취 수명정사왈 원지 취기실야 오 그윽한 아취를 도와주기에 마침내 정사 이름을 '원지'라 했으니 원지가 있는 곳에 지은
정사란 뜻을 취한 것이기도 하다네."
호 원자 근지적야 지자 심지소지야 상 아아, 먼 것은 가까운 것이 집적된 것이요. 뜻이란 마음이 가는 것이다.
하사방지우 고왕금래지주 가위원의 상하사방과 고금왕래의 우주란 가히 멀다 할 것 이나
이오지심개득지언 지언고 유소완 완 내 마음이 모두 갈 수 있는 것이다. 갈 수 있기에 익힐 수 있고
언고 유소락 낙언고 유소망 망자하 망 익힐 수 있기에 즐거운 바가 있고 즐거운 바가 있기에 잊을 수 있는 것이 있나니 잊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기실지소야 연명시왈 심원지자편 미 이 집의 협소함이다. 도연명의 시에 이르길 '마음이 멀면 땅은 절로 궁벽지다네' 했으니
사인 오수여귀 시위기 무인사월망전 이 이가 이미 나의 마음을 잘 표현했다. 이상의 내용으로 기를 짓는다. 무인년(1578) 4
월 보름
일일서 전날에 쓰다.
우기 선조서애선생소작이병 이상의 기문은 선조인 서애선생이 짓고 쓰신 것으로
서자 상게재벽상 중년견일 고금 일찌기 정사 벽 위에 걸려 있었는데 중간에 일실되었다. 하여 이제
초출우문집 정묘 소춘 십사대손 문집 중에서 (다시) 뽑아내어 정묘년(1987) 소춘(10월)에 십사대손
준하경서 준하가 삼가 썼다.
"그 집 얼마 주고 샀어?" "평당 얼마야?"
요즘 집은 그저 돈으로 환산되는 물건의 하나일 뿐이지, 삶의 의미를 지니는 가치체로서의 의미는 거의 없는 것 같아요. 재력과 권력의 상징체로서의 의미가 있지 않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을 '삶의 의미를 지니는 가치체'라고 말하기에는 좀 어폐가 있는 것 같아요. '삶의 의미를 지니는 가치체'로서의 의미란 과시와 관계된 것이 아니라 반성과 관계되기 때문이지요.
이런 점에서 이따금 만나는 옛 집의 기문(記文)은 시사하는 바가 커요. 집을 한갖 재산이나 숙식의 공간으로만 생각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반성하는 공간으로 생각한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하많은 세월을 집에서 보내는데 그 집에서 삶의 의미를 되돌아 볼 수 있다면 그 공간은 분명 물질적 공간을 넘어 정신적 의미를 지니는 소중한 공간이 될 거예요. 비록 그곳이 누추한 곳일지라도 말이지요.
사진은 안동 하회 마을에서 찍은 거예요. 서애 류성룡 선생이 '원지정사(遠志精舍)'라는 강학처(講學處)를 짓고 '원지'란 말을 왜 쓰게 되었는가에 대해 설명한 글이에요. 선생은 왜 '원지'란 말을 '정사'이름에 사용했을까요?
첫째 이유로 선생은 자신이 사안(謝安)과 유사한 면이 있기에 '원지'란 말을 쓰게 됐다고 말하고 있어요. 사안은 오랫동안 은거를 고집하다 환속하여 환온에게서 사마벼슬을 하게 됐는데, 이에 대해 안좋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학륭도 그런 사람중의 하나였죠. 어느 날 환온이 사안에게 원지(遠志)라는 식물과 소초(小草)라는 식물은 같은 것인데 왜 두 이름으로 불리냐고 물어보죠. 사안이 대답을 못하자 마침 옆에 있던 학륭이 이렇게 답해요. "산에 있으면 원지라 불리고, 산을 나오면 소초라 불립니다." 평범한 대답이 아니라 사안을 꼬집는 뼈있는 대답이었죠. 은거를 고집하기에 나름 원대한 뜻을 품은 인물인 줄 알았더니, 기껏 환속하여 환온에게서 사마 벼슬을 지내고 있느냐는 힐난이었던 것이죠. 선생은 자신이 사안처럼 처음부터 원대한 뜻을 품었던 사람도 아니며 출사를 해서는 더욱 더 보잘것 없는 사람이 되었다며, 전자에서는 사안과 다르지만 후자에서는 사안과 흡사한 면이 있어 원지소초의 고사를 사용하여 정사의 이름을 삼았다고 말하고 있어요. 자신의 능력과 처세를 돌아보기 위한 거울로 '원지'라는 정사명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을 거예요.
둘째 이유로 선생은 자신의 병을 치유하면서 사용한 원지라는 약과 그 약명에서 의미를 취해 '원지'란 정사명을 삼게 됐다고 말하고 있어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치유해 준 약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기 사용했다는 것이죠. 이는 '원지'라는 정사명을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을 관리하겠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라 말할 수 있을 거예요.
세째 이유로 선생은 정사 주변에 난 원지의 그윽함때문에 정사명을 '원지'로 삼게 됐다고 말하고 있어요. 이는 가장 단순한 이유라고 볼 수 있는데, 다소 견강부회하자면, 여기서 선생의 실사구시적인 면모를 볼 수 있어요. 허황된 생각이 아니라 실제에 즉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엿볼 수 있는 것이지요. '원지'라는 정사명을 통해 실사구시적 학문자세를 잊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거예요.
마지막으로 선생은 '원지'라는 이름을 단 이곳이 강학의 장소라는 점을 되새기고 있어요. 원대한 뜻[원지]이란 모든 시공[우주]을 넘나드는 공부를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몰입하는 즐거움을 갖게 되면 더 이상 외물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를 얻게 된다고 말하고 있죠. 이는 자신만의 생각이 아니며 이미 오래 전 도연명이 언급했다며 달성 가능하고 의미있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어떤가요? 한 집의 이름에 이런 정도의 의미를 부여한다면 그 공간은 더 이상 흙과 돌과 나무를 쌓아올려 만든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아름답고 뜻있는 공간이 되겠지요? 이런 곳이 진정 사람사는 공간 아닐까요? 물론 이 '원지정사'가 일반 생활 공간과 다른 강학처의 성격이 있기에 더 의미를 부여한 것이기도 하겠지만 꼭 그런 이유만으로 이 공간에 여러 의미를 부여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거예요. 기본적으로 사람이 사는 공간은 인격 수양을 위한 공간이라는 인식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고 '원지정사'는 강학처로서의 의미를 더 담아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거예요.

원지정사. 사진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9905
기문의 내용을 대표하는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遠은 辶(걸을 착)과 袁(옷길 원)의 합자예요. 긴 옷처첨 상호간의 거리[辶]가 멀다는 의미예요. 멀 원. 遠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遠近(원근), 遠大(원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志는 心(마음 심)과 之(갈 지) 변형자의 합자예요. '마음이 가는 바'라는 뜻이에요. 행동하기 위한 마음 자세란 의미지요. 뜻 지. 志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志向(지향), 意志(의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舍는 집을 그린 거예요. 口는 집의 토대를 그린 것이고, 干은 벽채와 거주 공간을, 人은 지붕을 그린 거예요. 집 사. 舍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館舍(관사), 寄宿舍(기숙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藥은 艹(풀 초)와 樂(즐거울 락)의 합자예요. 병을 치료하는 약이란 뜻이에요. 전설에 의하면 신롱씨가 온갖 풀을 맛보고 약이 되는 것을 선별해 냈다고 해요. 그래서 艹로 뜻을 삼았어요. 樂은 음을 담당하면서(락→약)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병으로 고통받다 약을 먹고 나아서 기분이 좋다는 의미로요. 약 약. 藥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良藥(양약), 藥局(약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固는 口(에워쌀 위)와 古(옛 고)의 합자예요. 사방을 견고하게 에워쌌다는 의미예요. 口로 뜻을 표현했지요. 古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견고하게 에워싼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한다는 의미로요. 굳을 고.'본디, 고루하다'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모두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본디 고. 고루할 고. 固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堅固(견고), 固所願(고소원), 固陋(고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醫는 殹(앓는소리 예)와 酉(酒의 약자, 술 주)의 합자예요. 아파하는 사람을 술을 사용하여 치료해주는 사람, 즉 의원이란 뜻이에요. 의원 의. 치료할 의. 醫의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醫師(의사), 醫術(의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治는 氵(물 수)와 台(怡의 약자, 기쁠 이)의 합자예요. 물이 아래로 흐르듯 정해진 경로에 따라 일이 잘 진행되도록 조처한다는 의미예요. 台는 음음 담당하면서(이→치)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정해진 대로 일이 잘 진행되어 기쁘다란 의미로요. 다스릴 치. 治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治安(치안), 治世(치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號는 号(부르짖을 호)와 虎(범 호)의 합자예요. 호랑이의 울음 소리가 높고 날카롭다는 의미예요. 부르짖을 호. 号와 號는 통용해요. 號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口號(구호), 號角(호각, 호루라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翠는 羽(깃 우)와 卒(죄수 졸. 보통 '마칠 졸'로 많이 사용하죠)의 합자예요. 깃털 색깔이 푸른 새, 즉 물총새를 가리켜요. 羽로 뜻을 표현했죠. 卒은 음을 담당하면서(졸→취)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푸른 색으로 물들인 죄수의 옷처럼 물총새의 깃털이 그렇게 푸르다란 의미로요. 죄수의 옷을 푸른 색으로 물들인 것은 그들을 다른 이들과 구별짓기 위해 그렇게 한 것이죠. 물총새 취. 푸를 취. 翠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翠鳳(취봉, 물총새와 봉황. 천자의 깃발을 꾸미는 장식), 翠竹(취죽, 푸른 대나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趣는 走(달릴 주)와 取(취할 취)의 합자예요. 신속하게 일에 임한다는 의미예요. 走로 뜻을 표현했어요. 取는 음을 담당하는데 뜻도 일부분 담당하고 있어요. 取는 본시 잽싸게 물건을 움켜쥔다는 의미인데, 그렇듯이 신속하게 일에 임한다는 의미로 본뜻을 보충해주고 있는 것이지요. 추창할 취. '뜻 취'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이 경우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빨리 가려는 생각을 한다는 의미로요. 趣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趣向(취향), 趣味(취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玩은 王(玉의 변형, 구슬 옥)과 元(翫의 약자, 가지고놀 완)의 합자예요. 구슬을 가지고 논다는 뜻이에요. 장난할 완. 여기서는 '익히다'란 의미로 쓰였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가지고 놀며 익힌다는 의미로요. 익힐 완. 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玩具(완구), 玩賞(완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樂은 거치대에 올려 놓은 북을 그린 거예요. 木은 거치대, 白은 큰 북, 幺幺는 작은 북을 그린 거예요. 보통 '음악 악'으로 사용하는데 음악 연주시 대표적인 악기의 하나인 북을 그려 음악이란 의미를 표현한 것이죠. '즐거울 락, 좋아할 요'로도 사용하는데 모두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음악을 연주하면 즐겁고, 또 음악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란 의미로요. 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音樂(음악), 娛樂(오락), 樂山樂水(요산요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忘은 心(마음 심)과 亡(도망할 망)의 합자예요. 마음 속에서 도망했다, 즉 기억하지 못한다란 의미예요. 잊을 망. 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忘却(망각), 備忘錄(비망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抄는 扌(손 수)와 少(적을 소)의 합자예요. 손에 도구를 들고 특정 물체를 집어 낸다는 의미예요. 扌로 뜻을 표현했지요. 少는 음을 담당하는데(소→초)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그렇게 집어내는 물체의 숫자는 적다는 의미로요. 뽑을 초. 抄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抄錄(초록), 抄譯(초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遠 멀 원 志 뜻 지 舍 집 사 藥 약 약 固 본디 고 醫 치료할 의 治 다스릴 치 號 부르짖을 호 翠 푸를 취
趣 뜻 취 玩 익힐 완 樂 즐거울 락 忘 잊을 망 抄 뽑을 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備( )錄 ( )味 ( )賞 ( )譯 口( ) 娛( ) ( )竹 ( )局 ( )安 ( )師 館( ) ( )近 ( )所願
3. 다음을 읽고 풀이해 보시오.
上下四方之宇 古往今來之宙 可爲遠矣 而吾之心皆得之焉 之焉故 有所玩
玩焉故 有所樂 樂焉故 有所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