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바빙 -- 오래 전 공주(公州)에서 본 레스토랑 이름이에요. 이 레스토랑 이름이 잊혀지진 않는 건 전혜린씨의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에 나오는「다시 나의 전설 슈바빙」때문이에요. 독일 뮌헨에서 유학하던 시절 머물렀던 슈바빙을 회상하며 쓴 이 수필에는 슈바빙의 자유로우면서도 개성 넘치는 기풍을 그리워하는 진한 향수가 담겨 있어요. 이 슈바빙이란 간판을 대했을 때의 느낌은 친근함과 정겨움 그런 거였어요. 독일도 아닌 우리나라에서 그것도 한 지방 도시의 레스토랑 이름을 보고도 슈바빙에 대해 친근함과 정겨움을 느끼는데, 현지를 간다면 그 친근함과 정겨움은 배가 될 것 같아요.

 

 

사진은 '완화계(浣花溪)'라고 읽어요(인터넷에서 우연히 찾아낸 사진인데 출처를 잊었네요). '꽃을 빠는 내'란 뜻이에요. 맑은 물에 비친 꽃을, 마치 강물이 꽃을 씻어주는 듯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에요. 완화계는 두보(杜甫, 712-770)와 여류 시인 설도(薛濤, 768-832)와 관계된 시내로 우리 선조들에게 널리 알려진 곳이에요. 두보와 설도는 이곳 주변에 초당을 짓고 문인들과 교류하며 가작(佳作)을 내놓았죠. 이곳에서 지어진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것에 '객지(客至, 두보 작)'와 '춘망사 사수(春望詞 四首, 설도 작)'가 있어요. 사진은 이 가작의 산실인 완화계를 그리워하며 새긴 각자(刻字)로, 우리나라에 있는 거예요. 이 완화계를 새긴 사람이나 보는 사람들은 필시 두보나 설도의 작품을 떠올리며 친근함과 졍겨움을 느꼈을 거예요. 마치 제가 '슈바빙' 간판을 보고 느낀 것 처럼요.

 

 

이제는 각자를 새기거나 마음 속으로만 사모하지 않고 손쉽게(?) 완화계를 찾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되었죠(완화계는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에 있어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완화계나 그 주변에 있었다는 두보와 설도의 초당이 옛 모습과 다르다는 사실이에요. 세월이 많이 흘렀으니 당연하다고도 할 수 있지만, 문제는 세월이 아니라 왜곡된 복원이란 사실이에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예의 중국인의 그 거대주의 때문에 완화계나 초당의 소박한 정취를 느끼기 어렵도록 거대하게 복원했다고 나오더군요. 이렇게 보면 완화계를 직접 가볼 수 없었던 옛 분들이 오히려 더 행복했는지도 모르겠어요. 비록 직접 가볼 수는 없지만 늘 마음 속에 새기고 그리워할 수 있었으니 말이에요. 찾아가서 실망하는 것 보다 이편이 더 낫지 않겠어요? 저도 슈바빙을 가보지 말까봐요(갈 형편도 안되긴 하지만). 전혜린 씨의 수필에서 느꼈던 그 정감을 잃고 실망할까 봐서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은  (의 변형, 물 수)와 完(완전할 완)의 합자예요. 옷을 빨았다는 의미예요.   氵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完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옷을 빨아 온전히 깨끗하고 아름답게 만들었다는 의미로요. 빨 완. 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浣雪(완설, 원죄를 씻어 줌), 浣沐(완목, 발을 씻고 머리를 감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흐드러지게 핀 꽃 혹은 꽃가지라는 뜻이에요. 艹와 化(될 화)의 합자예요. 艹는 본래 꽃가지가 늘어진 모양을 그린 거였는데, 후에 풀초[艹]의 모양으로 변했어요. 化 역시 처음에는 지금과 다른 모양의 글자로 '펴다'라는 뜻으로 사용됐었어요. 꽃 화. 花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百花齊放(백화제방, 사상과 주장이 만개한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花卉(화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氵(水의 변형, 물 수)와 奚(어찌 해)의 합자예요.  계곡 사이로 흐르는 물이란 뜻이에요. 氵로 뜻을 표현했어요. 奚는 음을 담당해요(해→계). 시내 계. 溪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碧溪水(벽계수), 淸溪(청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浣 빨 완   花 꽃 화   溪 시내 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百(   )齊放   (   )沐    淸(   )

 

3. 다음 시를 읽고 느낌을 말해 보시오.

 

   風花日將老(풍화일장로)   바람에 꽃은 날마다 시드는데

   佳期猶渺渺(가기유묘묘)   아름다운 기약 오히려 아득하네

   不結同心人(불결동심인)   그대와 한마음 맺지 못하고

   空結同心草(공결동심초)   헛되이 동심초만 묶고 있네    (설도, '춘망사' 4수 중 3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임금이 말씀하셨다. “(), 그대에게 명하노니 음악을 맡아 태자와 공경대부들의 맏아들들을 가르치되 강직하면서도 온화하고, 너그러우면서도 위엄을 잃지 않으며, 굳세면서도 거칠지 않고, 간략하면서도 오만하지 않은 이가 되도록 가르치시오. 시란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한 것이고, 노래란 시를 길게 읊조린 것이며, 음계란 노래에 의거해 만들어진 것이며, 가락이란 음계를 조화시킨 것이오. 팔음이 충분히 조화를 이루어 서로의 음계를 빼앗지 않아야 신과 사람들이 화평하게 될 것이오(帝曰, , 命汝典樂敎胄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無虐, 簡而無傲. 詩言志, 歌永言, 聲依永, 律和聲. 八音克諧, 無相奪倫, 神人以和)." 
 


상서(尙書)』「순전(舜典)」에 실려있는 내용이에요. 시와 노래와 음악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목으로, 흔히 시와 노래의 기원(혹은 성격)을 언급할 때 많이 인용되는 대목이지요. 위 인용문을 보면, 시와 노래는 음악에서 기원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요. 따라서 시와 노래는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지요. 각각의 영역이 독립된 예술로 전문화된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흔적은 남아 있지요. 좋은 대중가요를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심금을 울리는 가사 그것은 곧 시이며, 그 가사를 소리내어 부르는 것 그것이 곧 노래이며, 그 노래를 7음으로 표현한 것 그것이 곧 음계이며, 그 음계를 적절히 조화시킨 것 그것이 곧 가락이지요. 작년도 노벨 문학상을 대중가수 밥 딜런에게 수여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는데, 상서』「순전」의 논리에 의하면 부질없는 논란이었다고 할 수 있을 거예요. '반자 도지동(返者 道之動)'이란 말처럼 그간 분화되었던 영역이 다시 합쳐지는 예후를 보여준 시상이 아니었나 생각돼요. 앞으로도 적지 않은 음악인들이 노벨 문학상을 받을 것 같아요.

 

 

위『상서』「순전」의 음악 이론이 갖는 특징은 음악을 정치와 관련짓고 있다는 점이에요. 음악을 단순히 개인의 정서를 표현한 예술로 보지 않고 통치의 수단으로 보고 있는 점이지요. 조선왕조 초기 세종대왕이 박연 등을 등용하여 음악을 정리한 것은 바로 이런 관점을 반영한 것이지요. 음악이 정치와 관련이 있기에 음악과 관련있는 시 -- 넓게는 문학 -- 와 노래도 당연히 정치와 관련을 맺을 수 밖에 없지요. 과거에 시교(詩敎)라 하여 시를 가르침의 수단으로 여긴 것이나 민간의 가요를 채집하여 정치의 득실을 살핀 것은 이런 관점에서 기인한 것이지요. 한 때 참여 문학과 순수 문학 그리고 대중가요와 고전음악의 논쟁이 있었는데, 『상서』「순전」의 논리에 의하면 부질없는 논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거예요. 정치(사회)를 떠난 문학과 음악은 존재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모든 문학은 참여 문학이며 모든 노래는 대중 가요(음악)인 것이지요. 참여나 순수 혹은 대중과 고전의 논쟁도, 밥 딜런의 노벨 문학상 수상처럼, 그간 분화되었던 것이 다시 합쳐지는 예후를 보여준 논쟁이 아니었나 생각돼요. 실제 그런 논쟁이후 문학과 가요를 이분법으로 대하는 의식은 많이 완화된 것 같아요. 지금 그런 이분법으로 문학과 가요를 대하는 사람은 '촌스럽다'는 평가를 받잖아요? 

 

 

사진은 어느 자동차의 트렁크 외면에 있는 한자를 찍은 거예요. '영(詠)'이라고 읽어요. '읊다'란 뜻이에요. 보다 정확하게는 '노래한다'란 의미예요. 『상서』「순전」에 나온 "노래란 시를 길게 읊조린 것이며(歌永言)"의 의미가 바로 '영(詠)'이기 때문이에요. '영(詠)'과 '가(歌)'는 이음동의어(異音同意語)라고 할 수 있어요.

 

 

사진을 찍으면서 문득 '차는 곧 시이며 노래이다'란 생각이 들더군요. 일반적으로 차를 말[馬]에 비유하지만 시와 노래에 비유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든 거예요. 차는 대개 긴 거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고 운행 모습을 보면 운전자의 마음을 파악할 수 있으니, '노래란 시를 길게 읆조린 것이며, 시란 마음의 뜻을 표현한 것'이란 『상서』「순전」의 내용과 잘 부합하잖아요? 사진의 차 주인도 저와 같은 생각을 했을까요? 그럴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겠죠? 그러나 분명한 건 차에 부착하는 글씨치고는 꽤 신선하다는 점이에요. '낯설게 보기'를 통해 '생각거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요.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詠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읆조린다'란 의미로 言(말씀 언)과 永(길 영)의 합자예요. 읊을 영. 詠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吟詠(음영), 詠歌(영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는 필요없겠죠?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끝은 심히 창대하리라"

 

 

개업한 집에서 흔히 보게 되는 성경 구절이에요. 본래 전도(傳道)와 관계된 구절같은데, 개업한 집에서는 약간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듯 싶어요. 하나님이 잘 돌봐주실 터이니 용기를 갖고 사업에 매진하라는 의미로요. 개업은 망망대해에 떠있는 조각배와 같은 상황이죠. 그러나 누군가 나를 돌봐주고 있으며 결국은 잘 될거라는 확신이 있다면 결코 막막하지 않을 거예요. 논리적 귀결없는 구호(?)지만, 그렇기에 더 힘을 주는 구호 아닌가 싶어요.

 

 

사진은 '향광장엄(香光莊嚴)'이라고 읽어요. '빛과 향기로 에워싸다'란 의미예요. 능엄경(楞嚴經)에 나오는 한 글귀예요.

 

 

"저 부처님께서 저에게 염불삼매를 가르치시면서 비유컨대 한 사람은 자나깨나 생각하지만 한 사람은 완전히 잊어버렸다면 이 두 사람은 만나도 서로 보지 못하고 보아도 알지 못한다. 그러나 두 사람이 서로 기억하여 그 기억하는 생각이 깊어지면 이 생에서 저 생에 이르도록 형체에 그림자가 따르듯이 서로 어긋나거나 헤어지는 일이 없다. 시방의 여래가 중생을 불쌍하게 생각하는 것은 어머니가 자식을 생각하는 것과 같지만, 만약 자식이 도망친다면 어머니가 아무리 생각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자식이 만약 어머니 생각하기를, 어머니가 자식을 생각하듯이 한다면 그 모자는 여러 생이 바뀌어도 서로 어긋나거나 멀어지지 않을 것이다. 만약 중생이 마음으로 부처님을 기억하고 부처님을 생각하면 현전이나 내생에 틀림없이 부처님을 볼 것이며, 부처님께 갈 날이 멀지 않느니라. 방편을 빌리지 않아도 스스로 마음이 열리는 것이 마치 향기를 물들이는 사람이 몸에 향기가 배는 것과 같으니, 이것을 향광장엄 이라고 부른다고 하셨습니다."

 

 

향기를 물들인다는 말은 부처님을 간절히 희구한다는 의미이고, 향기가 몸에 밴다는 말은 부처님을 만나게 된다는 의미예요. 향광장엄은 부처님을 간절히 희구하여 만나게 된 상황을 향기를 물들이는 이가 절로 향기에 젖게 된 상황에 비견한 말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사진은 어느 음식점에 갔다가 찍었어요. 오른 쪽에 신년대길(新年大吉)이라고 써있고 왼쪽엔 병신(丙申) 석(釋) 유각(惟覺) 제하(題賀)라고 써 있는 걸 보니, 작년(2016)에 유각이란 스님이 새해 사업이 잘되길 기원하며 써 준 휘호인 것 같아요. 여기서 향광장엄은 본래 의미와는 다르게 "간절히 열망하면 성취되리라"는 의미로 사용됐어요. 마치 "네 시작은…"과 같은 취지로 사용된 것이지요.

 

 

 

간절한 열망[의지]은 쇠를 끌어 당기는 자석과 같아 바라는 바를 성취시켜 주죠. 이건 과학적인 사실이에요. 간절한 열망[의지]을 견지하면 그렇지 않은 이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고 그것은 곧 성취로 연결되기 때문이지요.

 

 

위 휘호를 건 음식점 주인은 원하던 바를 얻었을까요?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안 그런 것 같기도 해요. 작년 휘호를 그대로 걸어놓은 것을 보면 아직 원하던 바를 얻지 못해서 그런 것 같고, 반대로 작년에 원하던 바를 얻었으니 올해 또 원하는 바를 성취하길 바래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한자의 뜻과 음을 자세히 살펴 볼까요?

 

 

은 禾(黍의 약자, 기장 서)와 曰(甘의 약자, 달 감)의 합자예요. 오곡 중에서 기장 냄새가 가장 향기롭다는 의미예요. 曰은 음을 담당하면서(감→향)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향기로운 것은 아름답고 좋다는 의미로요. 향기 향. 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香水(향수), 芳香(방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火(불 화)와 人(사람 인)의 합자예요. 불을 머리 위로 높이 들고 멀리까지 비춰본다는 의미예요. 빛 광. 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光明(광명), 閃光(섬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艹(풀 초)와 壯(장할 장)의 합자예요. 풀이 크고 무성하게 자랐다는 의미예요. 장중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장중할 장. 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莊重(장중), 莊嚴(장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큰 소리로 급하게 명령한다[吅,부르짖을 훤]란 의미예요. 吅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하면서(염→엄)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吅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날카롭다'란 의미인데, 큰 소리로 급하게 명령하는 것은 (날카로워) 범접하기 힘들다는 의미로요. 엄할 엄. 嚴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嚴酷(엄혹), 嚴重(엄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香   향기 향   光 빛 광   莊 장중할 장   嚴 엄할 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芳(   )   (   )酷   (   )明   (   )重

 

3. 간절한 바램이 성취된 경험을 하나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513394.html>

 

 

따따 따 따따 따 따따 단 따 단 ~

 

흥겨운 '결혼 행진곡'으로 유명한 멘델스존은 여느 음악가들과 달리 부유한 환경에서 지냈다고 하죠. 그래서 그럴까요? 그의 음악은 밝고 경쾌하죠. 만약 멘델스존이 궁핍한 환경에서 지냈다면 그의 음악도 조금은 무겁고 어둡지 않았을까 싶어요. 예술과 경제는 무관한 것 같지만, 예술을 하는 사람도 일면 생활인인 이상, 예술과 경제는 무관하지 않을 거예요. 경제 상황이 어떠하냐에 따라 예술 세계도 그 영향을 받지 않을까 싶어요.

 

수화(樹話) 김환기(金煥基,1913-1974)는 우리나라 추상 미술의 선구자로 알려진 분이죠. 최근에 이분 작품이 해외에서 63억에 낙찰되어 화제가 됐죠. 우리나라 현대 미술 작품에서 최고가 1~5위에 해당하는 작품이 전부 김환기씨의 작품이라고 해요. 만일 김환기씨가 생전에 곤궁하게 지내다 사후에 이렇게 고가의 작품으로 평가받았다면 한층 더 화제가 됐을 거예요. 그러나 김환기씨는 멘델스존처럼 부유한 환경에서 성장하고 이후도 경제적으로 궁핍하게 지내지 않고 사회적으로도 홍익대 학장과 미협 회장 등 인지도 높은 직책을 맡았어요. 게다가 김향안이라는 걸출한(?) 아내의 도움으로 파리와 뉴욕에서 작품활동을 하기도 했구요.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 그리고 개발 독재 시대를 관통한 삶이었지만 자유롭게 자신의 예술혼을 펼칠 수 있었던 행운아였죠.

 

그래서 그럴까요?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 소재는 시대의 질곡과는 거리가 있는 자연(달, 산, 별, 매화)이나 고미술품(달항아리)이며, 그의 예술을 특징짓는 '전면점화(全面點畵)' 역시 이런 소재와 무관하지 않아요. 그가 주소재로 삼았던 자연이나 고미술품이 극도로 추상화된 것이 바로 전면점화라고 할 수 있거든요.

 

사진은 김환기씨의 파리시대(1956-1959) 사진이에요. 전 이 사진에서 엉뚱하게도 그의 모습이나 미술 작품보다는 왠지 생뚱맞게 벽에 붙어있는 '글씨'에 주목했어요. 생뚱맞게 붙어있긴 하지만 보통 글씨가 아니예요. 전서를 바탕으로 추상화처럼 표현한 글씨거든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그 내용이에요. 마치 김환기씨의 부족함 없는 삶을 대변하는 듯한 내용이거든요. 부귀쌍전(富貴雙全), '부와 귀를 아울러 갖고 있다'란 의미예요. 본인이 쓴 것인지 타인이 선물한 것인지 궁금해요.

 

 김환기나 멘델스존은 예술가들 중에 흔치 않은 행운아예요. 그러나 이들이 단순히 행운아에 머무르고 자신의 예술혼을 발휘하는데 게을렀다면 저명한 예술인이 되지는 못했을 거예요. 풍족하다고 꼭 훌륭한 예술가가 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실제 김환기는 뉴욕시대(1963-1974)를 그의 나이 50대에 시작했어요. 자신의 행운을 바탕으로 마음껏 예술혼을 불살랐던 그들의 노력 또한 높이 사야 할 거예요.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宀(집 면)과 畐(높을 복)의 합자예요. 집에 재물을 풍족하게 준비해두고 있다란 의미예요. 부유할 부. 富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富裕(부유), 貧富(빈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貝(조개 패, 재물 혹은 돈의 의미로 쓰임)와 蕢(삼태기 궤)의 초기 형태인 臾의 합자예요. 삼태기에 재물(돈)을 담아 지불해야 할 정도로 값비싼 물건이란 의미예요. 귀할 귀. 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貴金屬(귀금속), 貴賓(귀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한 손(又, 手의 변형, 손 수)으로 두 마리의 새(隹, 새 추)를 붙잡고 있다는 의미예요. 쌍 쌍. 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雙雙(쌍쌍), 雙手(쌍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王(玉의 변형, 구슬 옥)과 入(들 입)의 합자예요. 옥을 깊숙이 잘 보관한다란 의미예요. 온전 전. 全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完全(완전), 全體(전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富 부유할 부   貴 귀할 귀   雙 쌍 쌍   全 온전 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體   (   )手   (   )賓   (   )裕

 

3. '예술과 경제'에 대한 견해를 말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출처 : 시사IN(497호) 46쪽>

 

 

"3월 11일은 경주 지진 재해와 고리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난 지 6년 째 되는 날이다. 경찰청과 국토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아직도 12만3168명이 전국 각지에 피난 중이다. 경주 · 고리 · 월성 세 지역의 임시주택 거주자만도 여전히 3만3854명이다. 3 ·11 재해 이후 병사와 돌연사, 자살 등 관련 사망자는 지난해 전국적으로 116명이 증가해 모두 3523명이다. 7만9226명이 피난 중인 울산시는 재해 관련 사망자(2086명)가 3 · 11 당시 사망자 수(1613명)를 넘어섰다."

 

 

동일본 지진 재해와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 이후 내용을 전한 시사IN(497호)의 내용을 각색해 보았어요. 상상하고 싶지 않지만 만일 우리에게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난다면 이와 다를 바 없을 것 같아서 각색해 본 것이에요.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한 이후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결코 남의 나라 일이 아닐 수 있다는 경각심이 일고 있지만 여전히 '설마'하는 의식이 강한 것 같아요. 영화 '판도라'의 후폭풍도 거센듯 했지만 그것도 그때 뿐이었지 지금은 아득한 옛 이야기같이 얘기하는 사람도 많잖아요?

 

 

사진은 오누마라는 일본인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난 곳에 있었던 간판 앞에서 원전을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하는 장면이에요. 간판에는 원래 '원자력, 밝은 미래의 에너지(原子力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