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이 철학을 어떻게 말하는가 - 자연주의를 위한 새로운 토대
데이비드 리빙스턴 스미스 지음, 뇌신경철학연구회 옮김 / 철학과현실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렵고 생소하고 번역이 좋지 못한 편이지만, 신생 분야에 대한 책이니만큼 신선하고 흥미로운 독서경험을 가져다 주는 책이다. 제목 그대로 생물학이라는 자연과학이 철학을 어떻게 꼴지을 수 있는지를 논증해내고자 (진화)생물학, 신경학, 뇌과학 등에서의 연구성과를 철학의 다양한 분야와 문제들에 적용하고 있는 논문들 선집이다. 이렇다 보니 전통/현대철학 및 생물학과 연관된 자연과학 양자에 대한 강도 높은 지식이 없이는 꽤나 읽기 버거우며, 안 그래도 이리 어려운데 직역투의 번역이 이를 가중시킨다. 개인적으로 생물학 분야에 아는 바가 적다 보니, 각 글들의 논지는 파악했어도 그를 뒷받침하고자 동원된 근거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솔직히 내용을 논증적으로 이해한 글이 적었다. 하지만 어렴풋이 포착되는바 '철핫은 자연과학과 연속적이어야 한다'는 미국 실용주의와 콰인의 기치를 좇는 저자들의 근본 기조를 통해, 전통적으로 철학에서 제기되어 온 문제들에 이렇게도 접근할 수 있구나 하는 지적인 신선함을 느낄 때가 많았다. 어떤 식으로든 자연과학을 신뢰하며 살아가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 가장 설득력 있게 여겨지는 방식의 철학함을 제시해주는 분야가 이와 같은 생물/신경철학 분야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싹틔워준 독서였다. 번엿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융합적인 신생분야의 전문적인 글들을 한국어로 읽을 수 있도록 긴 기간 노고를 쏟아가며 함께 공부하고 번역해온 뇌신경철학 연구회 구성원들과, 학문적으로 양질인 책을 기획, 출판하여 일반 독자층이 접할 수 았게 해준 출판사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사족1. 책 첫 장에 '생물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he the biosphere!)' 라는 문구가 써 있다. 읽기 전에는 그저 그런 수사인 줄 알았는데 다 읽고 나니 편자가 왜 저런 문구를 삽입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분야의 프론티어에서 활동하는 학자들이 본질주의, 의식적 경험, 언어와 의미론, 의도와 지향성, 합리성, 윤리와 삶, 인간 본성, 일부다처제와 젠더문제, 인종 개념 등, 실로 다양한 분야에 걸친 여러 문제들을, 자연과학의 토대에서 접근하여 해결하고자 시도하는 지적 분투를 엿볼 수 있는바, 말 그대로 활발하고 생동감 있게 살아 숨쉬는 사유의 생물권을 조감한 듯한 기분이 들었다. 특히 그 명칭만 알고 있던 목적의미론 분야를 다룬 파피노의 글은 언어철학에 관심하는 나로서는 흥분감마저 느끼게 하였다(여타 철학책의 인용 서지사항에서 그의 이름을 간간이 보기는 했었는데, 글도 아주 잘 쓰는 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묘사하고 비유하는 문장으로서 아주 적합한 문구였던 셈이다. 


사족2.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신경철학'이 여타 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순수철학적 내용이 많기도 하고 자체적으로 읽기 쉽게 쓰이기도 해서였는지, 개인적으로 그나마 잘 읽힌 글이었다. 그녀의 글을 읽어보기는 이번이 처음인데, 신랄하면서도 설득력 있는 논조로 자신의 생각을 잘 풀어내는 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저서 "신경철학"을 예전부터 눈여겨보기만 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그 책을 꼭 사서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이 책을 통독하고자 하거나 생물/신경철학 분야에 관심하는 사람이라면, 먼저 이 글 한 편으로 입문해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