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돌봄의 역설 - 모두가 원하지만 아무도 하고 싶지 않은
김준혁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12월
평점 :
'모두가 원하지만, 아무도 하고 싶지 않은'
현 시대, 돌봄의 위치와 돌봄에 대한 인식을 가장 잘 설명하는 말이다.
돌봄이 필요한 이들은 보통 어린이, 노인, 장애우, 환자들의 경우이다.
이 책의 저자는 소아치과 전문의이자 의료윤리학자다. 그는 의료현장에서 돌봄과 관련한 현실을 인식했고 이 상황들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 지 연구했다.
과거, 돌봄노동은 어머니들의 몫이었다.
아이를 낳아 어른이 될 때까지 돌보고, 가족 내 환자가 생기면 간호와 간병을 하고, 가정 내 노인들도 돌보았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고 여성의 사회활동 비율이 높아지면서 오로지 돌봄만 할 수 있는 시간과 여력은 없어졌다.
그로 인해 베이비시터, 어린이집 교사, 간병인, 요양보호사 등의 돌봄관련 직업들이 생겨났지만 돌봄에 필요한 만큼의 인력공급이나 시간이 충분히 충족되지 못하고 비용과 질적인 부분에서도 만족도가 낮은 편이다.
취업난이 존재하고 고령화로 인한 돌봄 수요는 계속 느는 데, 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은 지속될까?
이제까지 돌봄은 어머니들의 영역이었던 지라 댓가없는 봉사와 헌신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일은 힘들지만 사회적 인식과 가치는 낮고 임금도 높지않다. '필요는 하지만 나는 하기 싫은 일' 에 수준높은 노동자가 유입될 리 없으니, 사용자와 노동자 모두 만족도가 낮은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돌봄이 없다면 미래는 없다. 맞다.
돌봄은 신성한 일이다. 그것도 맞다.
but, who?
저자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역사, 문학, 윤리 등등을 살피며 많은 사례들을 보고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한다.
ai와 로봇기술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일은 아니다. 지금도 여러 분야에서 조선족, 중국인, 동남아인들이 돌봄 노동자로 활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만족도는 낮다.
어느 누군가에게 희생을 강요할 수는 없다. 결국은 상생하기 위해 모두가 참여해야 하고, 돌봄에 대한 인식과 대우도 달라져야 한다.
간혹, 들리는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비인간적 행위들에 분노를 느낀다. 지금의 돌봄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인간은 살아생전 인권을 보호받아야 하고, 마지막 순간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어야 한다.
이제는 본인의 집에서 간병, 간호, 의료 서비스를 받으며 평온한 마지막을 맞을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도 충분히 마련되어야 한다.
돌봄의 문제는 모두가 알고 있지만 말하기 어려운 문제다. 도리, 의무, 사랑 등등의 말로 포장만 하기에는 늦었다.
쓰라리지만 받아들이고 공개적으로 드러내어 함께 해답을 찾아가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