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존감도둑 - 자기비난, 완벽주의에 무너지지 않는 건강한 자기애 처방전
이준용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4월
평점 :
#도서협찬. 자존감 도둑 by이준용
~살다보면 무지막지하게 자존감이 깨지는 순간이 있다. 그 순간, 도둑이 나타나 내 자존감을 훔쳐가버린다.
자존감은 나를 지키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 되는 데, 그 중요한 것을 도둑 맞으면 여러모로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저자는 진료실에서 불안, 우울, 공황장애, 번아웃 등으로 힘겨워하는 이들을 보면서 그 원인이 '자존감' 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존감을 지켜야 하고, 혹시 상처입었다면 하루빨리 회복해야 한다.
저자는 이 책을 총3부로 나누어 자존감 도둑을 이해하고, 잘 다루어, 그 이후에 회복과 성장을 이야기한다.
먼저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 로 나의 자존감 지수를 알아보고 시작하는 데, 저자는 미리 주의사항을 전한다.
책을 읽으며 어린 시절 겪은 트라우마가 떠올라 우울감과 긴장감이 과도하게 든다면 책 읽기를 멈추는 것이 좋다고.
이 말에 혹시 나도 그러지나 않을까 잠시 멈칫 했다. 그리고 누구나 가지고 있을 크고 작은 트라우마들이 성인이 된 후에도 자존감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인지하게 되었다.
자존감 도둑들의 유형은 보통 두 가지다.
주변에 나를 가스라이팅하는 사람이 있거나, 나 스스로 지속적인 부담감으로 자책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요구형, 처벌형, 죄의식형의 세 가지 형태가 직접적인 내재화와 간접적인 내재화, 모델링, 어린아이의 자기애적 해석에 의해 형성된다.
어린 나이일수록 위험에 대해 본능적으로 이끌리고, 믿음이 현실이 되기도 하고 언어의 올가미에 빠지면서 자존감 도둑이 더 크게 활약한다.
여기서 영화 <인사이드 아웃2> 에 나온 신념 저장소 이야기를 볼 수 있다.
경험이 신념이 되고, 신념이 모여서 자신에 대한 이미지, 자아상을 형성하는 데 메타인지를 통해 나의 신념 저장소를 들여다보고 인식하여 나에 대한 신념을 바꾸어 나갈 수도 있다.
1단계 내 감정 모니터링하기
2단계 떠오르는 생각 그대로 적기
3단계 나의 글 분석하기
4단계 자존감 도둑의 출처파악하기
5단계 자존감 도둑의 메시지와 내 행동 연결하기
이렇게 나에 대한 파악이 끝나고 나면, 구체적으로 자존감 도둑들을 공략하는 법을 배운다.
의외로 자존감 도둑들은 가족, 학교 등으로 내 가까이 있기에 야금야금 내 자존감이 갉아먹어도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감정적 작업전에 안전장치를 잘 만들고 자존감 도둑 대응카드나 자존감 도둑 인형도 활용해보자.
물론, 내게서 그들을 떨어뜨렸다고 해서 끝은 아니다. 회복의 과정이 필요하다.
상처받은 어린 나를 위로하고 건강한 나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책에서는 그 시간을 이기며 이제는 벗어난 사람들의 사례들을 이야기하며 용기를 준다.
책을 보며 세상에 상처받은 영혼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에 마음이 안 좋았다. 그러나 이 현실을 받아 들이고 극복해 나가는 것 부터가 변화의 시작일테다. 나를 가장 사랑하는 사람은 나이며, 나를 행복의 길로 이끌 존재도 나뿐이다. 그런 마음이면 내가 못할 것은 없다.
@ehbook_
#자존감도둑 #이준용 #은행나무
#자존감 #심리도식치료 #심리치료 #서평단 #도서협찬
< 은행나무 출판사에서 도서를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추천도서 #책추천 #신간 #베스트셀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