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시멈 코리아 - 외국인 비평가의 눈에 비친 한국.한국인.한국문화
스콧 버거슨 지음, 안영상 옮김 / 자작나무 / 1999년 9월
평점 :
품절


 

 
책 <맥시멈 코리아(maximum korea)>는 외국인의 눈으로 읽어야 한다. 한국 사람이라면 다 알만한 내용이므로 한국적인 눈으로 읽으면 그저 그런 책이다. 외국인의 시각으로 본 한국이 담겨 있는 책이다. 한국인은 그냥 지나치는 것이 이 책에서는 새삼스러운 또는 놀라운 재발견으로 다가온다.

 

저자 스콧 버거슨이 1996년 한국에 와서 생활하면서 느낀 점을 정리해서 1999년 출판했다. 대형 서점에서 판매되지 않아 길거리에서 팔기 시작했단다. 그는 UC버클리에서 영문학과 수사학을 전공한 후 <데일리 캘리포니아> 등 여러 매체에서 문화평론가로 활동했다. 1996년 한국에 와서는 <씨네21>, <조선일보>, <코리아헤럴드>, <코리아타임즈> 등에 꾸준히 글을 실었다. 2002년 출판한 <발칙한 한국학>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책의 표지에는 종이컵이 어지럽게 널려있다. 종이컵은 커피자판기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저자는 자판기 커피에 반한 미국인이다. 손으로 원두를 갈아 만든 정통 커피를 고집하던 그는 한국 자판기 커피 맛에 반해버렸다고 했다. 저렴한 가격에 원두커피보다 훌륭한 맛을 준단다. 커피자판기는 한국 전역에 깔려 있다. 외국인의 눈에는 한국인이 커피를 즐기는 민족으로 비칠 것 같다. 그러니 한국은 거대한 카페라는 말도 그렇게 틀린 표현은 아닌 듯하다.

한국에는 김씨가 많다. 저자는 한국을 수백만명의 김씨가 사는 나라라고 했다. 이처럼 한국인이 당연히 알고 있는 내용을 저자는 뻔뻔하게 되새김질한다. 그런 내용으로 만든 책이 발칙하기까지 하다. 그래서 이 책은 재미있다. 평소에는 인식하지 못하는 공기도 중력이 작용해서 무게가 있다는 새롭게 깨닫는 이치이다. 

 

이 책을 통해 부끄러운 한국의 자화상을 발견할 수 있다. 자부심도 느낄 수 있다. 개선해서 지켜야할 문화가 보이고 버려야할 태도도 이 책에 오롯이 담겨 있다. 그런데 저자는 한국 사람에게 맞아 죽을 것을 각오로 쓴소리를 토해내지는 않는다. 달콤한 소리가 대부분이고 쓴소리도 희석시켜 표현했다. 물을 타도 너무 많이 탔다. 

 

이 책은 10년 전 한국의 모습이다. 삐삐가 등장하고 이박사 사진이 실려있다. 그 당시 한국의 시대상을 더듬는 재미가 있다. 

 

저자가 한국생활 3년만에 이 책을 썼다고 하니 대단하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수 많은 사람을 만났고 수 많은 책을 참고했다. 거의 논문 쓰듯 이 책을 쓴 것 같다. 그 노고를 높이 평가하고 싶다. 그러나 저자는 어디까지나 외국인이다. 이 책 내용 중 사실과 다르거나 왜곡되거나 부풀려진 부분이 있다. 만일 다른 외국인이 이 책을 읽는다면 잘못된 정보를 사실로 받아드릴 수 있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라면 다행이지만 특정 현상을 단정짓는 것은 문제이다. ‘한국인은 그런 것 같다’와 ‘한국인은 이렇다’라는 표현은 전혀 다른 뉘앙스를 풍긴다. 커피 위에 덮인 하얀 거품만 보고 커피를 흰색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사족으로, 이 책을 헌책방에서 구입했다. 속지에 저자의 사인이 있다. 아마도 지인에게 선물한 책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중원 2 - 이기원 장편소설
이기원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책 <제중원>은 '흥미진진'이라는 표현이 어울린다. 책 1편이 백정 신분에서 조선 최초의 의사가 되는 과정을 그렸다면, 2편은 조선 말기 일제시대에서 고민하는 의사의 모습을 담아냈다.
특히 주인공 의사 황정의 라이벌 의사인 백도양이 이 시대를 겪으면서 갈등을 해소한다.
 
책의 내용 중 일부를 압축하면 이렇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조선은 사실상 일본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항일 결사대는 을사늑약을 주도한, 이른바 을사오적을 처단하고자 했다. 그 중에 한 명이 이근택 군부대신이다. 항일 결사대는 밤에 자고 있던 이근택 군부대신을 찔렀다. 10여군데 자상을 입고 한성병원으로 후송된 그를 백도양이 수술했다. 이름도 모른 채 조선인이라는 말만 듣고 이근택 군부대신을 살려냈다. 수술 후 자신이 살려낸 조선인이 을사오적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알고 혼란스러워한다.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의사 신분과 나라를 잃은 조선인 사이에서 백도양은 갈등한다. 이 갈등은 일본인에 의해 죽임을 당할 뻔한 황정을 구하는 것으로 해소된다. 결국 조선 의사로서 조선인을 살리기로 한 것이다. 그는 일본 병원인 한성병원을 떠나 제중원으로 돌아왔다.
 

한편 조선 최초 황정이 독립군을 치료하기 위해 만주로 떠나면서 이 책은 마무리된다. 25년 동안 황정은 만주에서 독립군을 치료하는 의사로 살아간다.
 
백정 출신이 의사로 신분상승하는 성공신화가 이 책의 뿌리이다. 게다가 나라를 구하는 의사로 거듭나는 모습에는 가슴이 뭉클거린다.
소의치병(小醫治病), 중의치인(中醫治人), 대의치국(大醫治國)이라는 말처럼 주인공은 나라를 구하는 의사의 모습을 보여준다.
 
가끔 이런 말을 듣는다. 의사가 돈만 밝히거나 환자보다는 병만 치료한다는 말이다. 예컨대 암 치료가 그렇다. 암 덩어리를 수술로 떼어내면 치료는 성공한 셈이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 후 후유증으로 거동이 불편한 생활을 감내해야 한다. 수술 후 후유증은 다음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환자 삶의 질이 무시되는 경우이다.
요즘은 환자 삶의 질을 따지는 의사가 많아졌다. 병을 고친답시고 환자가 평생 장애인으로 살아가는 편이 과연 이로운가를 따지는 것이다. 고령 환자라면 병을 치료하기보다 증세를 완화하면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도록 유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쯤 되면 한국 의사도 소의치병에서 중의치인으로 변하는 중이라고 할만하다.
다음은 대의치국이다. 나라와 국민을 위하는 의사가 많아지면 좋겠다. 얼마 전 한 외국인 여의사가 수십년동안 한국 땅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의술을 펴왔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런 의사는 한국뿐만 아니라 자국을 위한, 말 그대로 대의(大醫)이다. 이런 의미에서 의사에게 먼저 권하고 싶은 책이 <제중원> 1, 2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중원 1 - 이기원 장편소설
이기원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2010년 1월4일 첫 방송(SBS)을 타는 의학 드라마가 있다. 제목은 <제중원(濟衆院)>이다. 제중원은 1885년 세워진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이다. 처음에는 광혜원이었다가 후에 이름이 바뀌었다. 현재 세브란스병원의 전신이다.
 

이 드라마는 동명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한다. 작가는 2007년 MBC 의학 드라마 <하얀거탑>으로 유명세를 탄 이기원이다. 그는 이 책에서 조선 말기 설립된 근대식 국립의료기관이자 교육기관인 제중원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이 기관은 1908년 6월 한국인 최초의 의사 7명을 배출한다. 그 중에 박서양이라는 인물은 백정(白丁)의 아들이다. 구한말 최하층 천민 백정의 아들이 조선 최고의 의사가 되는 과정이 이 책의 핵심이다. 형조판서의 아들도 의사가 되려고 한다. 동시대에 서양 의학을 공부해 의사가 되려는 두 사람의 갈등이 이 책의 긴장감을 조성한다. 한 사람은 양반 출신이고 다른 한 사람은 백정 출신이다. 극과 극에서 출발한 두 사람이 한 지점에서 격돌하는 양상이다. 서로 조선 최고의 의사가 되려는 경쟁이 짱짱하다 이 격돌을 한층 부추기는 매개도 있다. 중인 출신의 한 여성과 함께 두 사람은 삼각관계를 이룬다.

 

이 책은 1, 2편 두 권으로 되어 있다. 책 1편은 조선 말기 개화파와 수구파가 충돌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고종 21년(1884년)에 일어난 갑신정변이다. 개화파의 칼에 자상을 입은 수구파 민영익을 조선 최초의 의료 선교사 알렌(Horace Allen)이 수술로 살려낸다. 이를 계기로 고종은 서양 병원인 제중원 설립을 허가한다. 1885년 4월10일 제중원이 공식 개원한다. 초대원장은 알렌이다. 백정의 아들(황정)이 그의 조수로 나온다. 백정출신이 의사 조수가 된 데에는 배경이 있다. 황정은 훔친 양반 호패를 이용해 백정이라는 사실을 숨겼다.
양반 출신이지만 권력을 버리고 의사가 되려는 인물(백도양)은 황정과 대립각을 이룬다. 때마침 미국 의사 헤론(John Heron)이 제중원에 합류한다. 백도양은 헤론의 조수 자격으로 제중원에 들어온다. 두 의사의 조수 자격으로 황정과 백도양이 제중원에서 만나는 장면이 책 1편의 끝 장면이다.

 

이 책은 소설이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했지만 일부분은 허구이다. 가난 때문에 치료도 받지 못하고 죽은 어머니를 보고 백정의 아들은 의사가 되려 한다. 이 부분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 황정의 역사적 인물인 박서양의 아버지 박성춘은 백정이긴 했지만 자식에 대한 교육열이 높았다. 아버지와 의료선교사 에비슨(Avison)의 친분으로 아들 박서양은 제중원에 입학한다. 그 외에도 몇 가지 부풀려진 점이나 생략된 부분이 있다. 소설 또는 드라마의 재미를 위해 그렇게 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역사 소설이나 드라마는 사실을 왜곡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자칫 어린 학생에게 왜곡된 역사를 진실로 심어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쉽게 읽힌다. 작가 출신이라서 그런지 글을 쉽게 썼다. 드라마나 영화를 보는 착각에 빠질 정도로 시각적인 표현이 특히 섬세하다. 책에 적절하게 배치된 두 주인공의 긴장관계로 독자는 지루하지 않다. 책 2편이 궁금하다. 2편을 아직 읽지 않았지만, 이 책이 내년 1월 소설부문 베스트셀러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난한 밥상 - 배부른 영양실조에 걸린 현대인을 위한 음식 이야기
이원종 지음 / 시공사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유명 호텔에서 큼지막한 스테이크를 먹어도 왠지 허전하다는 사람이 많다. 더운 여름이라도 땀을 흘려가며 뜨거운 음식을 먹고 이를 쑤시며 식당 문을 나서야 비로소 잘 먹었다는 느낌을 받는다. 한국인은 속이 쓰려도 매운 음식을 먹어야 먹은 것 같다.
 

수십 년 동안 몸에 밴 이런 식습관을 하루아침에 바꾸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맵고 짠 음식이 몸에 좋지 않다는 것을 모르지 않지만 고춧가루와 소금이 없는 음식은 밍밍하기만 하다.

 

저자 이원종 강릉대 식품과학과 교수는 책 <가난한 밥상>에서 이 습관을 꾸라고 주문한다. 저자는 아침, 점심, 저녁 식사에 먹어야할 음식을 제시한다. 하루 세 끼의 중요성과 각기 다른 섭취량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붙였다. 이 책에 나와있는, 하루 세 끼가 갖는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밤 동안 수면을 취하므로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전날 저녁 식사 후 아침 식사 때까지 거의 15시간 동안 우리 몸은 에너지 고갈 상태에 이른다. 아침 식사를 거르면 에너지 공급이 장기간 중단되므로 우리 몸은 지방을 분해해서 포도당을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젖산 등이 생성되므로 몸은 쉽게 피로해진다. 아침을 거르면 위염, 장염 등 각종 질병의 발병률도 높다. 아침 식사는 무엇보다 뇌 활성에 도움을 준다. 포도당으로 쉽게 전환되는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이롭다. 혈당을 갑작스럽게 올리는 흰 쌀밥보다 현미나 잡곡밥이 좋다. 아침을 많이 먹으면 배가 더부룩하고 활동에 지장이 생긴다. 밥으로 치면 2/3공기가 적당하다.

 

저자는 점심 식사를 잘 먹으라고 권한다. 점심 식사는 오전의 피로를 풀어주고 오후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중요한 식사이다. 단백질 위주의 식단이 좋다. 그렇다고 쇠고기나 돼지고기는 지방이 많아 소화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루 종일 움직이지 않고 책상에서 일하는 화이트컬러에게 육류 중심의 점심 식사는 오후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육류 대신 생선이나 콩으로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 직장인은 동료와 외식으로 점심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한 곳의 식당을 정하기보다 청국장, 등 푸른 생선, 두부 등을 파는 식당을 번갈아 가며 이용하면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다.

 

저녁 시간은 하루의 피로를 풀고 휴식을 취하는 시간인 만큼 활동량도 적고 에너지 필요량도 적다. 저녁을 필요 이상 섭취하면 대부분 체지방으로 쌓인다. 똑같은 음식이라도 낮보다 저녁에 섭취하는 것이 체내 지방으로 더 많이 축적된다. 저녁식사를 오후 6시 이전에 마치면 체지방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화로운 밥상 - 건강하게 오래 사는
이원종 지음 / 브리즈(토네이도)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고기보다 야채를 먹어야 건강하다고 한다. 고기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말인가? 그렇지 않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기에 고기는 필수 영양소이다.
 

이처럼 음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책 <조화로운 밥상>에서 얻을 수 있다. 저자인 이원종 강릉대 식품과학과 교수는 육식과 채식에 대한 정보를 이 책에 담아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거친 음식을 먹으라고 주장한다. 거친 음식이란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가 아닌 자연 음식이다. 같은 쌀이라도 도정 과정을 거친 흰 쌀이 아니라 현미를 말한다. 현미는 입에 겉돈다. 또 야채도 되도록 조리하지 않은 채 먹을 것을 주문한다. 역시 혀가 느끼는 맛은 갖가지 양념이나 소스를 첨가한 것만 못하다.

 

입과 혀에 거친 음식이 건강에 좋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저자는 거친 음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묶어 조만간 책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