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식탁 - 진화론의 후예들이 펼치는 생생한 지성의 만찬
장대익 지음 / 김영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인 학자가 쓴 최고의 진화론 서적 ..

이 책은 진화론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되는 4가지 주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
진화론의 기본 개념을 알고 읽으면 훨씬 재미있겠지만 ..
모르고 읽더라도 크게 어렵지는 않을 듯 ..

아마도 다윈 이후 현대 진화론 분야의 대가를 꼽으라면
리처드 도킨스와 스티븐 J. 굴드가 선택될 것이다 ..
도킨스는 세계적 베스트셀러인 '이기적유전자'의 저자로
현재 진화론 분야를 거의 평정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

안타깝게도 얼마 전 고인이 된 굴드는 도킨스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지금 이 책에서 살펴보는 4가지 주제 모두 굴드가 제기한 만큼
진화론 분야에 반란(?)을 일으킨 대단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굴드 진영과 도킨스 진영이 치열하게 논쟁하고 있는 4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주제는 적응 vs. 부산물 논쟁
즉 모든 것이 다 자연선택에 의한 적응인가라는 물음이다
예를 들어 이 책에서 굴드 진영으로 소개되는 촘스키는
인간의 언어능력이 자연선택의 산물이 아니라 ..
두뇌가 커졌다거나 일반 지능이 발달하는 가운데 그 부산물로 생긴 것이라고 주장한다 ..

둘째 주제는 자연선택이 작용하는 수준의 문제 ..
즉 자연선택이 작용하는 수준은 유전자인가, 개체인가, 아니면 집단인가라는 물음 ..
도킨스는 유전자 선택론을 주장하는데 반해 굴드 진영은 다수준 선택론을 주장한다 ..

셋째 주제는 점진적 진화 vs. 급진적 진화 논쟁
즉 진화는 정말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가라는 물음 ..
굴드는 단속평형론을 통해 진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보다는
오히려 매우 긴 안정 상태를 거치다 갑작스레 도약하는 식으로 진행된다고 주장한다 ..
도킨스가 '눈먼시계공'이란 책에서 이 부분에 대해 한 장을 할애하여
강력하게 비판할 정도로 가장 큰 논란거리가 되는 부분이다 ..

마지막 주제는 진화는 진보인가라는 물음 ..
굴드가 가장 강조하는 부분 중의 하나로 진화는 진보가 아니며 ..
생명의 역사에서 우발적 요인들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
그래서 굴드는 생명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 다시 한번 생명의 역사가 진행된다면
인간이 다시 탄생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

책을 읽다보면 저자가 도킨스에 많이 우호적인 것을 느낄 수 있다 ..
실제로도 도킨스가 현재 진화론 분야를 거의 평정했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나는 이 4가지 주제만을 놓고 본다면
부산물과 도약, 우연성을 강조하는 굴드의 의견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

이 4가지 주제와 더불어 종교에 대한 도킨스의 주장이 말미에 소개되는데 ..
최근 도킨스가 가장 전념하는 쪽이기도 하다 ..
도킨스는 종교를 정신바이러스로 규정하고 퇴치해야 할 대상으로 여긴다 ..

종교가 정신바이러스라는 도킨스의 논리에는 나도 매우 동의한다 ..
하지만 종교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
완전히 없앨 수 없다면 함께 공존하는 대안을 찾는 것이 더 현명한 것 아닐까 ?

이 책은 도킨스와 굴드 이외에도 르원틴, 촘스키, 핑커, 윌슨, 데닛, 마이어 등
쟁쟁한 대가들의 대표 저작과 핵심 주장들이 총 망라되어 소개된다 ..
다윈 이후 그 동안 진화론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
한 눈에 개괄해 볼 수 있는 최고의 서적이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의 대융합 - 인문학과 과학기술은 어떻게 만나는가
이인식 지음 / 고즈윈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약 누군가 나에게 꼭 알아야 할 과학 지식 네 가지를 추천하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진화론, 복잡계, 뇌/신경과학, 그리고 (인지)심리학을 추천할 것이다 ..

그런데 우연히도 이 분야를 모두 정리해 놓은 책이 출간되었다 ..
이 책은 이 네 분야의 학문적 기원과 핵심 개념들 ..
대표적인 연구자들과 그들의 연구결과 및 주요 문헌들을 알차게 정리해 놓았다 ..
뿐만 아니라 이들 학문이 인접 학문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어떤 통합 학문분야 들을 탄생시켜왔는지 큰 흐름을 소개한다 ..

인지과학과 인지과학의 학문적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인지심리학, 인식론, 언어학, 인류학, 신경과학, 인공지능 ..
그리고 인지과학과 결합하여 새롭게 탄생한 인지고고학, 인지종교학, 행동경제학 ..

뇌/신경과학과 그 융합학문 분야인 사회신경과학, 신경경제학, 신경공학, 신경윤리 ..
진화론과 진화심리학, 진화경제학, 다윈의학 ..
카오스 이론과 프랙탈, 복잡성 과학과 네트워크 과학, 복잡계 경제학, 인공생명 연구 ..

그리고 정보기술과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공학, 환경과 에너지 분야까지 ..

워낙 방대한 분야를 소개한 글이라
각각의 분야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윤곽과 핵심 개념을 명확하게 소개한다 ..

이 분야에 대한 최고의 지식 안내서이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류와 우연의 과학사 - 과학자들은 싫어할
페터 크뢰닝 지음, 이동준 옮김 / 이마고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사의 오류와 우연만이 아니라 훨씬 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다 ..

금 덩어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연금술에 심취하고 ..
화성에 외계인이 살고 있다거나 ..
지구 속에 또 다른 세상이 있다고 믿었던 과학자들 이야기는
뉴턴이나 오일러, 칸트와 같은 위대한 학자들조차도
경우에 따라서는 얼마나 터무니 없는 것들을 믿을 수 있는지 보여주고 ..

엄청난 방사능을 가진 라듐이라는 물질이 만병통치약으로 팔리고 ..
슈퍼워터와 관련된 소란을 읽다 보면
인간의 탐욕과 군중심리가 과학과 결합될 때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일들이 벌어질 수 있는지 느끼게 한다 ..

저온핵융합 해프닝은 객관적이어야 할 과학자들 조차도
상대의 권위 앞에 얼마나 무력한 지를 보여주며 ..

페니실린을 발견한 플레밍이 학계와 주위 사람들로부터
너무나 간단하게 무시당하고 주목 받지 못한 사례나 ..
의사들이 손만 제대로 씻고 청결관리를 하면 산욕열을 막을 수 있다고 해도
모욕과 비웃음으로 일관한 학자들과 산부인과 의사들의 행동은 ..
아무리 명백한 사실조차도 보지 못하는 인간의 취약성을 알게 한다 ..

쌀겨가 각기병을 치료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음에도
이를 인정하지 않는 의사들의 행동을 읽다 보면
질병과의 싸움보다 ‘미생물이 모든 질병의 원인’이라는
당시의 고정관념과의 싸움이 오히려 더 힘들다는 것을 보여준다 ..

이런 사례들도 충분히 흥미롭지만
이 책은 단지 과학사의 소란이나 오류들만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

현재 과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진화론이나 빅뱅이론,
생명의 기원에 관한 자연발생설,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와 같은 주제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비판과 문제제기가 이루어진다 ..

진화론에 대한 저자의 비판에 대해서는 다소 논거가 부족해 보이기도 하지만
진정한 과학이란 끊임없는 문제제기와 논쟁을 통해 발전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우리가 당연시 받아들이고 있는 과학적 상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계기가 된다 ..

에이즈 바이러스의 확산과 관련된 이야기가 가장 기억에 남는데 ..
자신들의 사업적 이해관계가 위태로워 진다고 보고
수혈에 의한 에이즈 감염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주장하며
경고의 소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에 바빴던 혈액은행 ..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많은 학자들 ..
위험을 경고하는 학자와 언론에 대해
무시와 부인으로 일관한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반응 ..
과학자들이 존재하지도 않는 위험을 과장해서
사회질서를 어지럽히는 비판 세력이라고 몰아부친 정치인들의 사례를 읽다 보면 ..

현재 벌어지고 있는 광우병 논란과 너무도 비슷하다는 생각에 두렵기도 하고 ..
우리가 과거의 실수에서 전혀 배우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씁쓸함이 느껴진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복잡계 이론과 진화론, 심리학을 알게 되면서
내가 세상을 들여다보는 방식은 크게 바뀌었다 ..
하지만 진화론이나 심리학에 비해 그 역사가 일천한 복잡계 이론은
관련 서적이 많지 않을 뿐더러 국내에 소개된 서적들 중 많은 책들이
물리학에 대한 지식 없이는 개념을 완전히 소화하기 힘든 실정이다 ..

이 책의 강점은 지금까지 나온 그 어떤 복잡계 서적보다
재미있고 쉽게 쓰여져 있다는 점이다 ..
저자는 복잡계 이론 중에서 네트워크 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네트워크 이론이 탄생해서 지금까지 발전한 과정을 이야기하고 ..
인터넷과 웹, 유전자와 경제처럼 다양한 분야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네트워크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보여준다 ..

세상을 노드와 링크로 인식한 오일러의 그래프 이론(graph theory) 이후
노드 간의 링크가 완전히 무작위적인
에르되스와 레니의 무작위 네트워크 이론은 네트워크 과학의 세상을 열었지만
현실과는 무관한 수학의 세계에 갇혀있었다 ..

스탠리 밀그램의 여섯단계의 분리(six degree fo separation) 실험과
그라노베터의 약한 연결의 힘(the strength of weak ties) 은
우리가 좁은 세상(small world)에 살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와츠와 스트로가츠는
에르되스와 레니 모델에 클러스터링을 도입하여
내부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클러스터들 상호 간에
몇몇 약한 연결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

하지만 세상이 무작위적이지 않음을 보여주는 허브와 커넥터의 발견은
성장(growth)과 선호적 연결(preferential attachment) 에 의해 형성되는
척도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의 탄생으로 이어지는데 ..
척도없는 네트워크에서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고 ..
네트워크의 링크들은 80/20 법칙과 멱함수(power law) 분포를 따르며 ..
노드들간의 경쟁과 적합성은 후발주자가 선발주자를 따라잡게 하기도 한다 ..

척도없는 네트워크는 내부장애에는 견고성(robustness)을 보이지만
허브에 집중된 외부 공격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보이는 특성을 가진다 ..

책 읽는 내내 결코 가볍지 않은 네트워크 이론을 마치 소설처럼 흥미진진하게
써 내려간 저자의 글 솜씨에 감탄을 하였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1)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2009.11.28) 제 4회 복잡계 컨퍼런스 : 확산의 원리
    from 안전한 세상을 꿈꾸며.. 2009-11-26 21:49 
    (2009.11.28) 제 4회 복잡계 컨퍼런스 : 확산의 원리 복잡계 네트워크 2009.11.28 ~ 2009.11.28 대한민국 성균관대학교 담당자 mail.coren@gmail.com Tel. Fax. 복잡계 네트워크의 주최로 제 4회 복잡계 컨퍼런스가 계최됩니다. 올해의 컨퍼런스는 복잡성 과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여러 현상의 창발 및 확산 과정의 원리를 탐구하고자 대표 주제를 '확산의 원리(Principle of Diffusion)'로 잡았습..
 
 
 
제너시스 - 생명의 기원을 찾아서
로버트 M. 헤이즌 지음, 고문주 옮김 / 한승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생명 기원에 관한 가장 유명한 과학실험은 아마도
스탠리 밀러와 해럴드 유리가 플라스크 안에 원시지구 환경을 만들어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분자를 생성한 실험일 것이다 ..

하지만 저자는 내가 아는 유일한 이 실험이
생명기원에 관한 수많은 과학적 가설 중 단지 하나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

생명의 씨앗은 밀러와 유리의 원시지구환경처럼
대기와 대양이 만나는 대양의 표면이 아니라
해저 열수공이나 황화물 표면과 같은 다른 원천에서 발생했을 수도 있으며 ..

그리고 생명의 씨앗이 어디에서 발생했건
이는 지금과 같은 생명이 탄생하기 위한 기나긴 여정 중
단지 첫 걸음일 뿐이라고 설명한다 ..

오늘날과 같은 생명이 출현하기 위해서는
생명의 가장 간단한 분자 구성 단위인
아미노산, 당, 탄화수소와 같은 다양한 생체분자가 먼저 만들어져야 하며 ..

살아 있는 세포는 그런 작은 분자가 조심스럽게 선택되고
그것들이 세포막, 단백질 촉매, DNA, RNA, 그 밖의 다른 거대 분자 같은
훨씬 더 복잡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며 ..

최종적으로는 자기 복제하는 능력을 갖춘 분자집단의 출현이 필요하다.

하지만 얼음과 물, 수증기가 전혀 다른 것처럼
각각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창발이 필요하며 ..

저자는 각각의 단계별로 특수한 창발 과정을 이해하려는
많은 과학자들의 실험과 이론적 시도들을 소개한다 ..

아직 완전히 결론 나지 않은 현재 진행형인 연구 결과들 ..
그리고 그런 연구 결과들을 둘러싼 과학자들간의 경쟁과 탐구과정이 흥미롭지만 ..

전문적이고 너무 디테일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과학적 소양이 깊지 못한 나에겐 다소 지루하고 낯설기도 하다 ..

책 읽기의 패러독스는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내가 모르는 것들이 더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