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상협의 무지개 연구 - 무지개로 푸는 과학의 원리와 역사
김상협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흔히 무지개는 신기하거나 아름다운 현상 정도로 여겨진다.과학 교과서에서 지나가듯 배웠지만 과학 전공자가 아니라면 자세히 배울 일은 따로 없다.이 책에서는 그런 무지개를 자세히 살펴본다.무지개 같은 특이한 자연 현상에 대한 탐구는 인류가 있었던 이래 계속됐다.지금은 편하게 책으로 공부하지만 과거에는 이런 탐구에 용기가 필요했다.이 책은 단순히 과학적 사실만 전달하기보다 독자 역시 자연 현상을 탐구하도록 이끌어 준다.지식을 넘어서 탐구하는 정신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유익한 책이다.앞서서 자연 현상을 탐구한 역사를 공부하면 그런 탐구하는 자세야말로 인류 발전의 원동력임을 알게 된다.
책 속 이야기는 무지개가 가지는 의미를 되돌아보게 만든다.이전에는 무지개를 별 생각 없이 지나쳤더라도 이제는 호기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책을 읽으면서 무지개는 과학과 문화의 교차점이라고 생각했다.근대 과학이 발전하기 이전의 인류는 무지개와 같은 자연 현상을 이해하는데 우화나 신화도 동원했다.그래서 무지개에 대한 이해는 과학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문화와도 만나게 된다.그런 무지개에 대한 문화적 접근은 동서양에 모두 존재했다.무지개의 매력은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을 정도로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다.그런 무지개의 원리를 알아가는 과정도 무지개 만큼이나 매력적이다.
과학기술의 시대인 요즘 과학 역시 교양의 일부다.이 책은 좋은 과학 교양서임과 동시에 좋은 물리학 교양서다.책을 읽고 과학사 공부가 과학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굴절과 반사 같이 지금은 당연하게 여기는 과학의 개념들도 치열한 탐구를 거쳐서 정립됐다.아리스토텔레스나 데카르트 같은 철학자들의 과학에 대한 탐구도 흥미로웠고 특히 무지개 연구에 한 획을 그은 테오도리크의 발견도 재밌었다.뉴턴의 등장과 근대 이후 무지개의 연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과 더 가까웠다.무지개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논의를 거슬러 올라가는 일은 인류의 지성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무지개 혹은 과학적 호기심에 관심이 있다면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6/pimg_721568139389659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6/pimg_721568139389659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6/pimg_721568139389659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