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마음도 습관입니다 - 내 감정을 책임지고 행복한 삶을 사는 법
박상미 지음 / 저녁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우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우울함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는 조금 불편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감정 관리는 자신의 몫이다.이 책에서는 자신의 감정에 책임을 지고 우울함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알려준다.심리적 문제에 대해서 책임을 강조하는 면이 위로만을 이야기하는 다른 책들에 비해서 돋보이는 책이다.이렇게 책임을 인식시키면  심리 상태가 나쁠 때 회복에 대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게 된다.무엇보다 책임감을 가지게 되면 스스로의 심리와 상황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돌아볼 마음이 생긴다.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첫걸음 역시 책임감이라고 생각된다.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 책임감을 가지면 자존감도 단단해진다.자존감을 잃고 무기력에 빠지는 일도 방지하게 된다.책을 읽으면서 책임감이 있어야 자신의 감정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자신의 감정을 선명하게 보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우리는 우울이나 불안의 핵심적인 원인을 모르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그것은 우리의 무의식 중에 있다.이 책은 감정을 선명하게 보고 부정적인 감정을 승화시키거나 유머로 다루면서 여유 있게 다루도록 도와준다.막연하게 나쁜 감정에서 벗어나면 감정 관리도 더 수월해진다.자신의 감정을 선명하게 보는 사람의 경우 이타적이지만 억울하지 않은 인간관계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타주의는 좋지만 때로는 이타주의가 스스로에게 가혹한 일이 되기도 한다.따라서 우선 스스로에게 친절할 필요도 있다.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감정은 물론 삶에 대해서 주인의식을 가지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자신의 감정에 대한 무책임 혹은 과도한 이타주의 같은 늪에 빠지는 일을 막기 위해서는 주인의식이 필요하다.이 주인의식은 구체적으로는 자기통제감이 필요하다.세상의 모든 일을 내 뜻대로 할 수는 없지만 동시에 자신의 운명에 대한 자기통제감은 필요하다.어떤 환경 속에서도 자기통제감을 찾는 과정이야말로 내적 성장이라는 생각도 들었다.자기통제감이 있어야 긍정적인 마음가짐도 가능하다.어떻게 하면 내면이 단단해지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