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자와 달빛 ㅣ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18
세르브 언털 지음, 김보국 옮김 / 휴머니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우리나라에서 서양 소설은 주로 미국 소설이거나 서유럽 소설이 많이 소개된다.그런 측면에서 동유럽 소설인 이 책은 단연코 눈에 띈다.신혼여행 중 과거를 떠올리면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과거와 현재의 연결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주인공인 미하이는 사실 정상적인 인물과 거리가 있다.불가해하다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로 생각이 많다.그만큼 사연도 많고 내면도 깊다.그런 깊은 내면은 부부생활을 비롯한 현실과의 괴리로 이어진다.따라서 아내인 에르지와의 관계는 삐걱거린다.과거의 기억이 떠오르면서 현실의 사랑을 내팽겨치는 모습이 씁쓸했다.미하이는 현실적인 사랑에 안 맞는 남자의 모습을 잘 보여준 캐릭터라고 생각된다.
미하이의 여러 친구들은 미하이에게 반가운 사람들이면서 동시에 과거의 난해한 기억들을 떠올리게 만드는 사람들이다.책을 읽으면서 오랜만에 동창을 만났을 때 만감이 교차하는 현실은 다 비슷하다고 생각했다.다만 미하이는 그 감정이 강렬했고 호기심에 자신을 맡겼다는 차이가 있다.소위 말하는 성숙함, 현실에 대한 적응은 미하이와 잘 맞지 않았다.한편으로는 무책임했고 한편으로는 청춘 같았다.미하이의 섬세함과 유약함은 단점일 수도 있다.하지만 사랑과 죽음에 대한 저자의 고뇌를 담고자 한다면 가장 좋은 그릇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사람들은 보통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꺼린다.미하이의 주변은 청소년 때부터 그런 측면에서 특이했고 미하이도 죽음을 가깝게 여긴다.책을 읽고 과거의 소용돌이에서 빠져나오는 일이 결코 쉽지 않다고 생각했다.남들이 봤을 때는 행복할만한 조건인데도 미하이의 섬세함과 유약함 그리고 과거의 기억들이 소용돌이를 일으켜서 미하이를 휘청거리게 만들었다.미하이는 섬세하고 유약하면서도 반항적이다.기존의 질서를 따르는데 회의를 느낀다.실재하는 사랑을 따르기보다 과거 때문에 방황하는 미하이의 모습은 불안했다.미하이가 방황 끝에 어떤 결정을 내릴지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읽게 되는 책이다.저자의 철학적면서 종교적인 고민과 유럽의 풍경이 잘 어울린다는 생각도 들었다.동유럽 소설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과거와 현재의 관계 그리고 사랑과 죽음에 대한 성찰에 관심이 있다면 역시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21/pimg_721568139383033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21/pimg_721568139383033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21/pimg_7215681393830338.jpg)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