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사도들 - 최재천이 만난 다윈주의자들 드디어 다윈 6
최재천 지음,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재천 교수는 이미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생물학자다.생물학의 대표적인 인물인 다윈의 업적을 논하는 일에 최재천 교수보다 더 나은 사람을 국내에서는 찾기 힘들다.이 책에서는 그런 최재천 교수가 해외의 내로라하는 학자들과 만나서 인터뷰한다.모두가 각자의 분야에서 기라성 같은 인물들임에도 다윈을 존중하고 또 그의 제자임을 자처하다니 다윈의 위상을 잘 알 수 있는 책이다.현대의 과학은 다윈주의와 떼어 놓을 수 없다고 생각된다.그런 맥락에서 현대가 생물학의 시대라는 말도 이해하게 된다.다윈의 이론은 단순했지만 옳았고, 단순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더욱 빛났다.

다윈의 메시지는 명료했지만 그 바탕에는 수없는 연구와 사색 그리고 교류가 있었다.다윈은 진화생물학의 원조임과 동시에 사상가와 같았다.책을 읽으면서 다윈의 과학적 업적은 결과물 만큼이나 그 과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비록 과학적 결과물 때문에 비주류의 입장에 서게 됐지만 버틴 그런 과정  역시 중요했다.다윈은 학구적이었고 학자로서 자신의 입장을 견지할 소신이 있었다.혹독한 검증의 결과 살아남은 다윈의 이론은 이제 검증이 아닌 응용의 대상이다.다윈의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응용하는 일은 현대 과학과 공학의 근간이 되고 있다.이 책에서는 그런 다윈을 여러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는데, 다윈이야말로 생물학이나 과학을 넘어선 학문의 융합에도 적격인 사람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철학과 과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다.원래 과학은 철학과 구분되지 않았지만 근대에 들어서 독립했다.다윈의 학문적 영향이 그린 궤적은 통섭이라는 말로 이어진다.책을 읽고 하나의 학설이 이렇게 결과적으로 포괄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감탄했다.다윈의 학설에 대한 집요한 공격이 오히려 다윈의 학설을 이해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철학과 종교를 다시 생각하도록 만들었다.다윈의 학문적 결과물은 그 결과물 자체로도 과학사에 남을만 하지만, 그 이후의 논의 과정 역시 주목할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런 논의 과정은 기존의 철학과 종교에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 인간의 사고를 발전시켰다.또 다윈의 이론에서 출발한 진화심리학은 기존의 심리학을 변화시켰다.전통적인 종교와 사고를 전복시켰던 다윈의 삶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