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적 - 유럽에서 아시아 바이킹에서 소말리아 해적까지
피터 레어 지음, 홍우정 옮김 / 레드리버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공부를 하다 보면 변두리에 있는 사람들의 존재를 알게 된다.그들에 대한 공부는 역사를 보는 폭을 넓혀준다.이 책에서는 그들 중 하나인 해적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보통 사람들이 살면서 보기 힘든 해적이지만 이 책에서는 생생하게 설명하기 때문에 독자도 몰입하게 된다. 특히 근대 이후의 해적을 다룬 부분이나 서양 학자의 책인데도 동양의 해적 문제를 다룬 부분이 인상적이었다.한편 해적은 낭만적인 존재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그저 골칫거리 정도로만 알고 지나갔던 해적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이 책은 군사나 무역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과거에는 약탈하러 바다로 나간 해적들도 그저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반 백성들의 고달팠던 삶을 이해하는 일에도 도움이 된다.

과거의 해적들은 제도권과 가까웠고 비록 겉으로만 내세우는 수준이었지만 명분도 있었다.책을 읽으면서 해적들이 종교적 명분을 내세웠다는 사실이 웃기다고 생각했다.또 해적들은 외교의 일부이기도 했다.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그래서 해적을 미화할 필요는 없지만 해적을 이해하는 일이 역사 공부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생각도 들었다.인간의 해양 진출은 인류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는데  해적도 비록 어두운 길이지만 그런 진출 경로 중 하나였다.따라서 해적을 단순히 범죄로만 취급하면 역사를 실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제약이 있다.물론 해적은 일반 백성들에게 큰 위협이었고 많은 피해를 끼치는 사악한 집단이었지만 알아보면 시대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다.

그런 해적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는 저자의 통찰력이 놀라운 책이다.책을 읽고 백성들이 바다로 나가는 모험까지 결심하고 실행한 과정이 참 처절하다고 생각했다.그렇게 해적들은 위로는 정치와 아래로는 백성들과 맞닿아 있었다.백성들을 불안하게 하는 해적들이 정작 생계가 불안정해서 해적질에 뛰어든 백성들이었다니 참 역설적이었다.또 하나의 역설은 그런 해적들을 물리치는 일마저 해적들의 일이었다는 것이다.대중적으로는 알려지지 않았던 이런 해적들의 역학 관계가 흥미로웠다.현대의 해적질은 주로 소말리아 해적들의 활동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그 악행도 추적하다 보면 세계사의 흐름과 함께 움직였다.역사의 이면을 바라보는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