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2000년생이다 - Z세대와 세련되게 일하고 소통하는 법
허두영 지음 / 데이비드스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z세대를 넘어서 z세대에 대한 이야기도 많다.이 책에서는 z세대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룬다.z세대와의 관계는 당연히 이전과 다르다.소통 방식부터 그렇다.따라서 z세대의 문화를 잘 이해해야 변화하는 관계 속에서도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mz 세대는 질문에 익숙하다.권위를 따르기보다 질문한다는 점이 이전 세대와 다른데, 이 자유로운 질문이 핵심일 수 있다.z세대 인재를 대할 때는 질문에 익숙해져야 된다.이렇게 질문을 받아들이면서 논의하면 z세대를 존중하고 또 팀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자유로운 질문을 포함한 z세대의 다른 문화를 현장에서 융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다.

갈수록 조직 관리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z세대가 들어오면 더 그러겠지만 관점을 바꾸면 이것 역시 하나의 기회가 된다.책을 읽으면서 z세대의 문화적 요인들은 역시 나름의 이유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했다.이 나름의 이유가 있다는 생각이 z세대에 맞는 세련된 대화를 하는데 꼭 필요하다.그런 인식이 있어야 그들과 동료로서 잘 지내거나 그들에게 리더십을 발휘하는 일이 가능해진다.z세대의 가치를 우선 이해해야 존중하고 또 한 팀 내에서 조화를 이룰 수 있다.이 책은 z세대의 문화에 대한 강의서다.동시에 z세대의 문화가 기성 조직과 공존하는 방법을 담은 매뉴얼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책이다.

z세대를 이해하고 그들과 협력하는 일이 미래에는 중요한 역량이 될 것이다.시간이 지날수록 유의미해지는 역량이다.책을 읽고 z세대를 둘러싼 갈등 관리를 잘한다면 그 자체로 중요한 조직의 역량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z세대의 실용주의는 조직의 군살을 빼는 일에도 도움이 된다.변화가 빨라지는 시대에 조직은 유연하고 민첩해야 된다.책 속 z세대의 문화가 그런 조직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했다.또 공감능력이 강조되는 시대적 변화를 감안하면 z세대의 문화를 조직 안으로 받아들이는 일은 중요하다.우리 사회가 압축성장 과정에서 미처 챙기지 못했던 공감, 다양성, 환경과 같은 이슈들에 z세대는 적극적이다.이런 이슈들을 포용하는 비전이 필요하다.z세대의 문화를 포용하는 비전과 리더십이 궁금하다면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