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은 협력한다
디르크 브로크만 지음, 강민경 옮김 / 알레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은 흔히 무자비한 정글로 묘사되곤 하지만 그 안에도 협력이 존재한다.인간 사회는 물론 자연에도 협력이 필수자연이다.인간 사회와 자연이 협력으로 유지되는 모습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복잡계 과학이 도움을 줄 수 있다.이 책에서는 복잡계 과학을 통해서  생물체들이 어떻게 협력하는지 보여준다.인간 사회의 문제에 대한 색다른 시각과 자연의 신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모두 배우게 되는 책이다.인간도 자연 속 동식물도 모두 연결망 안에서 존재한다.그 연결망을 이해해야 이 세상에서 나타나는 현상들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그런 측면에서 이 책은 자연과 인간 사회를 아우르는 좋은 과학책이라고 생각된다.

복잡계 과학은 세상을 좀 더 총체적으로 보도록 이끌어 준다.갈수록 복잡해지는 세상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책을 읽으면서 복잡계 과학의 전망이 정말 밝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기존의 분과별 이론으로는 설명이 어려웠던 부분도 복잡계 과학으로 는 설명이 가능하다.코로나 이후의 혼란스러운 세상 속 복잡계 과학은 과학계의 큰 희망이 될 수 있다.복잡계 과학의 모델은 자연과 크게 보면 자연의  일부인 인간 사회에 모두 적용을 시도한다는 점이 독특하다.자연은 물론 인간 사회도 역동성이 강해지는 시대인 만큼 복잡계 과학이 현실을 이해하는데 더 강력한 도구가 되어간다고 생각했다.

복잡계 과학은 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출발했지만 사회과학에도 활용도가 높다.자연과학과 인간 사회에 대한 탐구가 조화를 이루는 지점이다.책을 읽고 자연에 대한 연구를 인간 사회에 대한 연구에 활용하는 일이 구조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했다.자연과학의 인문사회학적 활용은 매료될 가치가 있는 일이다.둘은 본질적으로 닮은 측면도 많다.자연세계와 인간사회의 연관성을 이해한다면 복잡계 과학의 가치도 이해할 수 있다.물론 복잡계 과학의 한계가 있지만 바이러스와 인간 사회가 뒤섞인 전염병 사태를 보면 그 유용함이 뚜렷하다.이제 생태계의 임계점이나 티핑 포인트는 세상의 변화를 위해서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서로 다른 분야를 연결짓는 일이 통찰력의 바탕이 된다는  생각도 들었다.우리가 자연 속에서 어떻게 공생할 수 있을지 그 협력의 메커니즘이 궁금한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