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얻는 지혜 (국내 최초 스페인어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6
발타자르 그라시안 지음, 김유경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은 흔히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지만 정보를 많이 안다고 지혜로워지지 않는다.이 책에서는 지혜를 배울 수 있다.사람의 마음과 처세에 대한 고전인 이 책에는 인문학적 지식이 풍성하게 담겼다.단순한 기술이 아닌 근본에 대한 이야기가 담겼기 때문에 고전이라고 부르기 충분하다고 생각된다.책 속의 인문학에 기반한 조언은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에도 유용하다.또 사람에게 필요한 문화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잘 이끌어준다.또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소중한 미덕들을  상기시켜 준다.처세의 이면에 담긴 깊은 의미를 배우게 되는 책이다.

다양성이 중시되면서 온전한 사람이라는 말도 신중하게 써야 되는 말이 되었지만 여전히 온전한 사람이라면 지켜야 될 일들이 있다.정념 즉 감정에 휘둘리지 말아야 된다는 조언이 눈에 띈다.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이미 막연하게나마 알고 있는 태도의 지침들이 고전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생각했다.고전의 내용들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 여부가 인간관계의 성패를 가르겠다는 생각도 들었다.사실 고전은 새로운 무언가를 가르쳐 주기보다 이미 존재하지만 우리가 망각하기 쉬운 미덕을 상기시키고, 결국 독자를 더 사려깊은 사람으로 만든다.

인간관계를 잘 맺고 유지한다면 그것만으로도 큰 능력이다.그러려면 사람의 본성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잘 알아야 된다.책을 읽고 문화적 소양과 현실감각이 두루 갖춰진 사람이야말로 인간관계에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또 사람의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실용적인 판단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했다.책의 교훈을 잘 받아들인다면 긍정적인 인간관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인간관계에 대한 성취는 신중함에서 시작된다.이 책에서 가장 강조하는 신중함은 친한 사이에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이런 신중함은 동양의 중용과 겹쳐 보인다.책 속 균형에 대한 이야기와 중용을 함께 생각하면 또 나름의 재미가 있다.물론 신중함과 함께 날카로움도 필요하고, 그 둘 사이의 균형도 중요하다.그 균형을 배우는 일이 성숙해지는 과정이라고 생각된다.신중함과 성숙함을 바탕으로 하는 지혜가 궁금한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