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의 미래 - 기능보다 정서, 효율보다 낭만, 성장이 멈춘 시대의 새로운 프레임
야마구치 슈 지음, 김윤경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선진국들이 그렇듯 한국도 저성장 사회가 되었다.저성장 기조가 심해지면서 걱정도 많이 제기되고 있지만 저성장이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잘 알려진 작가인 야마구치 슈가 저성장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기한다.저성장이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에서 출발한다.그 관점의 변화는 근대화의 관점과 달라지는 일이다.우리나라는 급속한 근대화의 과정을 거쳤고 그 부작용도 크다.그래서 일본인이 쓴 책이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서 참고할 부분이 많은 책이다.사회와 경제를 뛰어넘는 야마구치 슈의 철학적 관점이 돋보이는 책이다.

생산과 소비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제에 변화가 필요하다.과잉생산과 과잉소비라는 악순환을 끊어야 된다.책을 읽으면서 탈근대는 윤리와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성이라는 측면으로 봤을 때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다.절대적인 부는 넘쳐나지만 여전히 불평등 문제는 존재한다.또 환경파괴와 기후변화 역시 인류가 직면한 문제다.기후변화는 이제 기후위기라고 불리면서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생산과 소비라는 관점에서 벗어난다면 자연스럽게 경제성장에 대한 집착에서도 벗어나게 된다.물질적 충족을 위해 노력하던 근대적 관점이 오히려 인류에게 유해하게 되었다니 역설적이다.이 역설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일이 인류의 가장 큰 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산과 소비 그리고 경제성장을 뛰어넘는다면 거기에는 무엇이 있을까.의미 혹은 재미가 있다.책을 읽고 의미 있는 삶에 대해서 사람들이 더 많이 고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물론 단순한 개인의 몫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하다.또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재미도 중요하다.단순히 많은 콘텐츠보다 어떤 의미 혹은 재미를 가진 콘텐츠가 생산되는지가 중요하듯 말이다.비즈니스는 이런 시대적 변화에 부응해야 한다.사실 비즈니스는 사회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또 때로는 그것을 선도한다.이런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고 또 시대적 변화를 이끄는 비즈니스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비즈니스의 방향이 궁금한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