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가 노화의 갈림길 - 젊음을 지속하는 사람, 단번에 늙어버리는 사람의 차이
와다 히데키 지음, 정승욱 외 옮김 / 지상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 60도 청춘이라는 말은 비교적 오래된 말이다.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나이 70이 청춘은 아닐지 몰라도 여전히 젊었을 때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나이로 불린다.이 책에서는 70살의 나이가 노년을 잘 보내는데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말한다.노년기에 갼병인에 의존하거나 부부가 서로 가능하면서 삶의 질이 악화되기도 하는 현실을 생각한다면 많은 중장년층이 읽어야 될 책이라고 생각된다.고령자의 기준이 갈수록 올라가는데 반해서 건강 수명의 상승은 더디다.100세 시대인 현재는 오래 사는 일도 중요하지민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도록 하는 일도 사회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이 챽은 그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책이다.

노인들 중에서는 건강을 체념하는 경우도 많다.특히 노인 건강 문제는 정신건강 문제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그렇다.책을 읽으면서 노인들의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저자는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정신건강과 신체적 건강 양쪽 모두에 균형잡힌 비결을 안내한다.그 비결에는 의학 뿐만 아니라 아직도 현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노인들의 이야기까지 담겼다는 측면에서 정말 실질적이고 유익하다고 생각된다.나이 70이 하나의 전환점이라는 저자의 이야기에는 충분한 설득력이 있었고 또 충분한 힘이 있었다.나이 70 이후의 인생도 보다 건강하게 살고 싶다는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책이다.

노인이 되면 그동안 건강에 나쁜 줄 알면서도 가지고 있었던 습관을 바꿔야 한다.책을 읽고 노화에 대비하는 일이란 사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었던 일들을 실천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노화를 겪으면서도 스스로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자립하는 일은 처음에만 낯설지 결국 그 내용은 사람이 살면서 해야 되는 일이기 때문이다.노화 과정에서 자립이 중요한 이유는 자립이 가족들은 물론 장기적으로 보면 노인 본인에게 더 낫기 때문이다.자식이 부모님을 간병하는 일마저도 길어지면 지치기 마련이다.노년의 배우자나 부모님이 행복하길 원하는 독자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