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누구니 - 젓가락의 문화유전자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젓가락은 우리가 흔히 보거나 쓰는 물건이다.그런 젓가락에 우리의 미래가 상관이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이 책에서는 젓가락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잘 설명해주고 그 의미를 공유하고 있다.저자는 젓가락 그리고 젓가락질이 걸어온 길과 걸어갈 길을 탐사하고 있다.지성인으로서 박학다식함과 설명력을 모두 가진 저자의 모습이 책에서 보였다.이야기꾼인 저자의 이야기가 얼마나 폭이 넓은지 탄성을 자아냈다.한 지성인의 인생이 이 책 한 권에 담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현대의 인문학 고전인 이어령 선생의 책에서는 본인의 인생과 사유를 바탕으로 하는 지혜가 엿보인다.

젓가락질이 우리의 정체성이 될 수도 있을까.책은 그렇다고 말한다.문화적 신분증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책을 읽으면서 한국인에게 젓가락질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돌아보고, 우리는 그걸 과소평가하지 않았나 반성하게 되었다.이어령 선생의 지적 탐구를 따라가다 보면 젓가락질은 한국인에게 평생의 문제라는 사실을 배울 수 있다.새삼스럽지만 분명한 사실이고, 그 사실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공부할 때 도움이 되는 사실이다.한국인의 생활에 젓가락질이 빠지지 않으며 그것을 문화적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게 되면 우리의 생활을 보는 눈도 달라진다.사람의 문화적 시각을 예리하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의 문화론을 따라가면서 밥상 위의 문화가 우리의 문화로서 얼마나 가치 있는지 깨달았다.책을 읽고 문화유전자라는 말을 익히기만 해도 많이 배우는 독서라고 생각했다.문화론 혹은 문명론적 관점에서 일상을 들여다보는 일이 더없이 재밌다.이야기꾼인 저자가 문화론 같은 거창한 이야기와 소박한 일상을 설득력 있게 연결시키는 모습을 보면서 저자의 천성이 이야기꾼이라고 느꼈다.젓가락과 같은 식기는 고고학이나 인류학에서 많이 거론한다.그것이 인류의 생활양식을 보여주기 때문이다.젓가락은 그런 측면에서 역사적 유물이고 동시에 생활용품이다.아직도 쓰이는 화석이라니 놀라운 존재다.책을 통해서 젓가락과 젓가락질에 대한 인문학적 이야기를 알게 되었고 보다 풍성한 교양도 얻게 되었다.우리 민족과 젓가락 사이의 관계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