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자경제 - 양자적 관점으로 해석하는 인공지능, 팬데믹, 기후위기 이후의 세상
앤더스 인셋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2월
평점 :
양자역학은 물리학 전공자가 아닌 사람도 많이 들어봤을법한 단어다.양자물리학이나 양자~라는 표현도 그렇다.이처럼 현대사회에 대해서 논하는데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양자와 경제를 합성시킨 양자경제가 바로 이 책이다.과학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진보를 이끌었지만 동시에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도 심화시키고 있다.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속도는 이공계 종사자들마저 칸막이를 넘어가면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이고, 그 영향력도 지대하다.책을 읽어보면 저자는 이런 시대에 맞는 처방을 내리고 있다.현대인들이 불확실한 미래를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는지 이 책에서 배우게 되었다.
불확실한 시대일수록 균형을 잡는 일이 더 중요해지지만 동시에 더 어려워진다.이 책은 균형을 잡는데 필요한 이야기를 전해준다.누구의 지식이나 판단도 완전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저자의 발상은 설득력 있게 보인다.책 속에는 현대사회의 수많은 문제를 관통하는 문제의 원인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래서 이 책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해결의 출발점으로 삼기에는 괜찮다고 생각된다.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는 선택을 요구 받는다.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관점을 갖춰야 몰락을 피할 수 있다.팬데믹 시국에도 빈부의 차이는 더 벌어졌다.책에서는 인간 시스템 속 오류를 바로잡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 오류들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세상에 없을 것이다.시스템 속 오류를 수정하는 일이 균형을 잡고, 변화하는 시대의 문제들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저자가 책 속에서 던지는 질문들은 기존 시스템에 대한 도전이다.그리고 그 질문들 안에는 희망이 담겼다.문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연대가 이루어지고 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가 눈에 띈다.그 희망이 실현되는지 여부가 다음 세대의 갈림길이라고 볼 수 있다.현실에 대한 저자의 해석은 날카로움과 희망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돋보인다.비판의식과 희망 둘 중 하나를 포기할 필요가 없음은 세상에 하나의 정답은 없다는 양자역학, 양자경제라는 제목과도 잘 어울린다.우리가 현재의 시스템을 고치는데 이 책의 지성은 필수적이다.저자는 기존 시스템의 물질주의에서 탈피한 신경제를 이야기하는데 이 신경제가 현실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도 지켜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미래의 경제 시스템, 새로운 경제의 성격이 무엇인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2/pimg_721568139331598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2/pimg_721568139331598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2/pimg_7215681393315989.jpg)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