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방스에서 죽다 1 - 마티스, 피카소, 샤갈 편
조용준 지음 / 도도(도서출판)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봉준호 감독이 황금종려상을 받은 프랑스 칸과 휴양지로 유명한 니스는 우리나라에도 이제 많은 사람들이 아는 도시가 되었다.특히 니스의 자연환경은 휴양지로 적합하고 니스에 다녀간 예술가들의 이야기는 무척이나 흥미롭다.환경이 인간의 심리에 주는 영향을 알게 되면 예술가들이 니스를 포함한 프로방스의 풍경 속에서 어떤 영감을 얻는지 더더욱 궁금해진다.이 책은 그 궁금증을 해소해준다.책에서는 여행 작가로서 독특한 입지를 구축한 저자가 예술가들의 자취와 삶을 돌아본다.휴양은 영국인들이 시작했다고 하지만 결국 그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니스에 끌리게 되었다.

니스를 포함한 프로방스 지역의 분위기는 활달하면서도 고요하다.기운을 충전하는 휴양지로서 적합하다.예술가들이 지치거나 새로운 마음이 필요할 때 이용할만 하다.책 속 앙리 마티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프로방스에서 미술과 인생이 무엇인지 질문하게 된다.어쩌면 이곳은 평생 걸어온 자신의 길을 마치기 적합한 곳인지도 모른다.프로방스가 자연적으로도 그렇지만 문화적으로도 풍부한 이유는 미술 덕분이다.미술가들은 경쟁하고 또 서로 존중하면서 활약했다.또 한편 그들에게는 삶의 어두운 모습도 있었다.프로방스의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 책에 나온 그들의 사연을 읽다보면 인간적인 면모도 발견할 수 있다.

햇볕이 정신건강에 좋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이 햇볕 밑에서 교류한 예술가들의 이야기는 예술가들의 작품 이면에 있는 예술가 그 자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책 속 주요인물인 피카소의 이야기는 예술가와 예술작품 사이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도톡 한다.축복받은 환경의 휴양지 속에서도 피카소의 이야기에는 고뇌와 치열함이 있었다.주위 풍경의 평화가 마음을 조금 가라앉힐 수는 있디만 내면의 평화는 당사자에게 달려있었다.예술가들 사이의 우정은 그런 내면의 공허와 고민을 달래주는 일인지도 모른다.책을 읽으면서 프로방스 안에서의 예술가들의 고뇌와 우정은 함께 빛난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