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의 시간 속으로 - 지구의 숨겨진 시간을 찾아가는 한 지질학자의 사색과 기록
윌리엄 글래슬리 지음, 이지민 옮김, 좌용주 감수 / 더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명이 발전하면서 자연을 보기 힘들어졌다.그나마 보이는 자연도 가공된 자연, 제한된 자연이지 순수한 자연은 아닌 경우가 많다.이 책에서는 지질학자인 저자가 순수한 자연을 만나서 겪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아직 인간의 손이 많이 닿지 않은 자연의 근원은 정적이다.조용하기 때문에 사색에 잠기게 하고 인간에게 철학과 예술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이 책에서도 저자는 그 박학다식함으로 자연을 마치 문학처럼 표현한다.그래서 이 책은 과학책이면서도 예술적이다.자연의 장대한 풍경은 인간에게 무한에 가까운 느낌을 준다.이 책에서도 그런 자연의 기운을 잘 살렸다.그린란드의 풍경은 인간에게 무엇을 말해주는가.이 책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이면서 동시에 우리가 발달된 문명 속에서도 자연에 대한 인식과 분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간은 자연 안에서 살아가지만 자연에 무뎌지는 경우가 많다.자연 속에서 시간은 도도하게 흐르는데 인간의 시간 감각으로는 아주 느리게 느껴진다.그러나 자연도 분명 시간에 따라서 변한다.그렇기 때문에 지질학자는 땅에 숨겨진 근거를 바탕으로 흘러간 시간을 재구성한다.이 책도 그 결과물이다.야생의 땅은 지구 역사의 총체라고 볼 수 있다.책에서 저자는 흘러간 역사를 되돌아 보면서 사색에 잠긴다.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웅대함과 긴 역사는 인간으로 하여금 겸손해지게 만들고 또 깊은 생각에 빠지게 만든다.자연은 자유로운 공간 같다.복잡한 도시 안에서 지내다 드넓게 펼쳐진 대지를 보면 자유롭다는 느낌을 받는다.그러나 그 자연 속 야생은 험난하다.야생에서는 지구 초기의 흔적도 발견할 수 있는데 그런 측면에서 지질학은 고고학과 닮았다.책에서는 지구의 과거를 밝히는 풍성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린란드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그린란드의 모습은 순수한 자연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변하고 있다.오래된 그림 같은 그린란드의 모습이 변하면서 우리는 지구의 기록을 잃어버린다.인간을 위한 개발이 지구의 흔적을 지우고 있다.저자는 그린란드를 관찰하면서 그 광활한 자연과 자연의 시간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이야기한다.지금은 우리 인간이 자연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는지 물어야 될 때가 아닐까.숲속에서 새가 우는 소리를 들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그러나 개발되고 숲이 사라지면서 새도 사라지고 인간에게 필요한 물도 인간의 손에 의해서 오염되기도 한다.그리고 그런 개발 과정에서 우리는 자연을 살필 여유를 잃는다.자연도 우리에게 보여줄 수 있는 역사를 잃어버린다.이 책은 아직 잃어버리지 않은 역사에 대한 기록이면서 자연에 대한 과학적이면서도 감성적인 관찰의 결과물이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