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과 주근깨 공주
호소다 마모루 지음, 민경욱 옮김 / 대원씨아이(단행본) / 2021년 9월
평점 :
가상공간에 대한 기술적 발전이 빨라지면서 사람들의 기대도 커지고 있다.특히 현실에서 겪은 아픔이나 소외를 가상공간에서 치유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가상공간은 우리의 상상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처음 보는 공간이 될 수도 있지만 힐링을 위한 공간이 될 수도 있다.이 책에서는 스즈라는 소녀가 가상공간에서 격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가상공간에서 만나게 된 용은 과연 스즈의 상처를 치유해줄 수 있을까?아무리 용이 신비의 존재라지만 마음 속 상처는 쉽게 치유하기 힘들다.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의 소녀와 용의 만남은 이야기를 궁금하게 만든다.
스즈의 이야기는 사람들이 가상공간에 빠지는 이유를 잘 보여준다.현실에서는 누구나 아픔을 겪으면서 살고, 현실적인 이유로 자신의 꿈을 펼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가상공간은 비교적 자유롭다.시골 소녀 스즈가 스타 가수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면서 가상공간의 잠재력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그러나 가상공간은 그야말로 가상의 공간이다.현실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또 가상공간에도 방해꾼은 있기 마련이다.그 방해꾼과의 관계를 풀어나가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현실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서도 배우고 고민할 수 있다.가상현실이 현실의 도피처만 될 필요는 없다.배움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책 속의 스즈는 분명 가상공간에서 배움을 얻었다.
가상공간의 스즈는 과연 현실로 잘 돌아올 수 있을까?현실에서 받은 상처를 잘 다룰 수 있는 성숙함을 가지고 말이다.그리고 세상과의 소통을 놓지 않는 용기까지 가지고 돌아와야 한다.용은 스즈가 성숙함과 용기를 가지는데 보탬이 될 수 있다.현실세계와 가상세계라는 두 셰계를 가지고 있는 스즈는 공감과 위로를 통해서 성장한다.두려움의 대상이라던 말썽꾸러기 용도 자신만의 사연이 있다.그 두 세계 사이에서 방황하는 사람은 스즈만이 아니었다.스즈는 방황하면서 같은 처지의 인물을 만나고 자신의 아픔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아픔도 보듬는 소녀로 성장했다.나처럼 상처입은 사람을 본 동병상련의 마음이었다.가상세계 속 청소년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1/pimg_721568139316414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1/pimg_721568139316414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1/pimg_7215681393164142.jpg)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