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공부, 스스로 끝까지 하는 힘
김성효 지음 / 해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생에게 공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그러나 초등공부는 아이가 학업을 수행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일부 지나치게 열성적인 학부모의 모습을 따라할 필요는 없지만 꾸준한 공부는 이때부터 시작해야 한다.교육 전문가인 장학사가 쓴 이 책에서는 초등학생의 공부를 어떻게 지도해야 되는지 상세히 알려준다.무엇보다 단순히 이론이나 지식만 알려주지 않고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그 방식을 전수하는데 저자의 풍부한 현장 경험이 느껴진다.초등학생 나이에는 지식을 많이 알기보다 실수하더라도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본인 의사로 최선을 다하는 일이 중요하다.이 책은 아이를 그렇게 키우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보다 효과적인 학습은 꾸준함이 있어야 가능하고, 꾸준함은 아이가 학업에 관심과 흥미를 가져야 생긴다.그러려면 공부를 강제가 아닌 습관으로 자리잡게 만들어야 한다.

공부를 습관으로 만들려면아이가 공부를 통해서 자존감이 향상되어야 한다.책에서 이야기하는 공부자존감을 보면서 생각이 많아졌다.우리 사회에서 공부는 개인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공부의 정체가 무엇이길래 아이의 자존감을 깎아먹을까.공부란 무엇인지, 공부를 왜 해야 되는지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공부로부터 아이의 자존감을 지킬 수 있다.책에 나와있는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의 문제도 공부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끝까지 실천할 수 있다.책을 읽다보면 우리가 공부에 대해서 너무 막연하게만 생각하고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았나 반성하는 마음이 생긴다.이처럼 초등학생 아이들의 공부에 대한 걱정은 학습량이 아니라 학습의 자세와 마인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그래야 지속가능한 학습이 가능해진다.그러려면 노하우가 필요한데 이 책에 그 노하우가 듬뿍 담겼다.

초등학생 학습문제에 대한 솔루션은 아이들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라는 기본으로 돌아간다.그러나 이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공부를 해나가야 공부에 자신감이 생기기 때문이다.건강한 공부방식을 가르치고 현명하게 지도해야 한다.교육열이 아이에게 원동력이 되도록, 하지만 교육열이 아이를 태워버리지 않도록 세심하게 신경써야 한다.학생의 학습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가 함께 관여한다.부모는 아이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함께 준비하되 공부는 일정 정도 아이에게 맡기고 자신은 내려놓아야 한다.물론 아이 공부를 아예 포기하라는 말은 아니다.아이한테 맞는 충분한 학습전략을 세우면서도 아이가 스스로 해야 된다는 원리를 유지하라는 소리다.예컨대 메타인지 같은 경우 부모가 먼저 알아보고 아이가 시도해보도록 지도해야 한다.그러나 메타인지를 꾸준히 하는 일은 아이의 몫이다.책의 내용을 따라가다보면 아이가 새로운 내용에 대한 호기심과 창의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이 책이 독자로 하여금 아이가 학습내용을 더 잘 기억하고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는 인재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아이가 공부를 스트레스 받는 마음이 아니라 즐거운 마음으로 하길 바란다면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