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철학책
사와베 유지 지음, 김소영 옮김 / 아름다운날 / 2021년 5월
평점 :
우리는 철학이라고 하면 우선 어렵다는 생각부터 한다.철학은 고상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생각해버리기 쉽다.그러나 철학은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이야기다.철학을 모르면 나를 포함한 이 세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힘들다.철학은 고상한 예술가나 박식한 학자들만의 것이 아니다.각 개인에게도 철학은 필요하다.우리가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지혜 역시 철학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철학은 지혜로운 사람이 되는 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학문이다.또 학문이면서 동시에 우리 삶의 한 방법이다.행복한 삶의 가늠성을 높여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철학이나 지혜라는 말이 거창하게 들릴 수 있지만 우리들의 삶에 소박한 도움도 줄 수 있다.철학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일은 어렵겠지만 교양 수준으로 배우는 일은 두려워하지 않아도 괜찮다.이 책에서는 일반인이 교양 수준에서 알아두면 좋은 이야기를 전한다.
몇년 전부터 우리 사회에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는 말이 많이 나왔다.한때는 인문학 열풍까지 불었지만 얼마 안 가서 사그라들었다.그 인문학의 핵심이 바로 철학이다.철학은 엑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그리스 같이 먼 시기에도 존재했다.철학을 포함한 인문학이 우리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해도 이런 고대 그리스의 이야기는 너무 멀게 들린다.그러나 철학은 역사와 떼어놓을 수 없고 철학은 역사를 통해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고민하는 여러 문제들은 크게 보면 철학적 명제에 포함된다.그리고 그 명제들은 무려 수천년 전부터 수많은 철학자들이 고민한 문제다.철학자들은 인생의 선배를 넘어서 생각하기의 선배들이다.
생각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카르트, 우리가 쓰는 언어에 대한 철학을 말한 비트겐슈타인, 무의식을 이야기한 라캉을 보면 철학은 우리의 삶과 항상 함께한다.우리가 그들의 사상을 아는지 모르는지의 문제가 있을뿐이다.이성과 질서, 감정과 사랑 등 우리가 자신의 삶은 건설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재료들을 철학자들은 모두 다뤄봤다.분업화와 전문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철학에 대한 의문이 강해지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런 사회에서 철학자들의 가치는 더 높아진다.이 책을 통해서 철학에 친숙해지면 여러 철학자들의 존재가 우리 현대사회를 구축하고 우리의 생각 아래에 있는 토대임을 새삼 느낄 수 있다.사색이 직업인 철학자들의 사고는 학문 사이의 경계를 뛰어넘어서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는다.그 흐름은 나와 세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한다.현상을 넘어서는 세상의 본질과 근원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지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924/pimg_721568139312635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924/pimg_721568139312636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924/pimg_7215681393126367.jpg)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