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 영양학 사전 - 신장병, 피부병,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음식과 필수 영양소 해설 ㅣ Pet's Better Life 시리즈
스사키 야스히코 지음, 박재영 옮김 / 보누스 / 2021년 8월
평점 :
반려동물 문화가 널리 퍼지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의 숫자도 늘어났지만 반려동물을 잘 키우려는 마음도 커졌다.반려동물을 잘 키우는 방법 중 하나는 잘 먹이는 것인데 반려동물의 식습관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가 돌아다니지만 부정확한 부분도 있고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도 있다.사실 사람의 식생활은 사람마다 다르고 식생활에 대한 생각도 각양각색이듯 반려동물 식생활에 대한 생각도 그렇다.심지어 전문가들도 반려동물의 식생활에 대한 말들이 다를 때가 있다.이 책에서는 수의학 전문가인 저자가 여러 이야기들을 취합해서 고양이의 식생활에 대해 믿을만한 정보들로 책을 써나갔다.질병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고, 예방하려면 식급관도 당연히 신경써야 한다.식습관의 중요성은 많은 건강 전문가들이 조언하고 있다.
고양이는 비교적 까탈스러운 동물로 알려져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식습관을 맞추는데도 신경써야 될 부분이 많다.반려동물로 고양이를 키우는 집도 많다지만 고양이보다는 개가 반려동물로 더 오래되었기 때문인지 개의 식생활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고양이한테 적용해서 문제가 되기도 한다.고양이도 비만이나 내장질환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고 고양이의 생활 패턴이 사람과 다른 경우가 있기 대문에 음식에 대한 신경은 써도 써도 부족하지 않다.특히 고양이의 음식 재료에 대한 세간의 인식은 재고할 부분이 많다.고양이의 음식은 필수 영양소를 포함하되 고양이의 기호나 반려인의 상황 그리고 고양이의 구체적 건강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고양이의 음식 재료도 단편적으로 이게 된다 안 된다 하기보다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양이의 기호까지 고려하면서 음식을 준비하려니 레시피가 필요하다.사료를 집밥으로 대체하려면 고양이의 까다로운 식성을 맞추되 영양학적 측면을 고려해서 조절한다.이 조절 과정에서는 서양의 영양학뿐만 아니라 동양의 의학까지 고려하고 고양이의 건강에 대한 식이요법도 생각한다.식이요법은 고양이의 체질에 맞아야 한다.고양이의 건강을 개선하고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식단을 구성하려면 고양이의 영양과 건강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또 고양이가 식단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려면 고양이의 잡식성이라는 특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조심스러운 고양이를 잘 먹이려면 고양이의 생애주기에 알맞은 음식을 고려해야 한다.반려동물의 질병으로 동물병원에 다녀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반려동물의 먹을거리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고민하게 된다.고양이를 키우고 있거나 키울 예정인 사람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810/pimg_721568139305776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810/pimg_721568139305776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810/pimg_7215681393057768.jpg)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