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방 - 치매 엄마와의 5년
유현숙 지음 / 창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년의 건강 문제가 본인은 물론 가족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가 참 많다.여러 건강 문제가 있겠지만 특히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치매는 정상적인 가족들로 하여금 많은 고생을 하게 한다.우선 치매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치매를 경험하기 전에는 당연히 치매를 모른다.알더라도 피상적으로 알기 때문에 막상 주위에 일이 닥치면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치매는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을 괴롭게 하는 병이기 때문에 본인과 가족 그리고 의사들이 힘을 합쳐서 견뎌내야 한다.가족들이 치매 환자를 감당하기 힘들어하는 현실 속에서 치매는 가정의 문제를 넘어 사회의 문제까지 된다.치매에 대한 연구개발로 치료에 진전을 보인다고 하고, 치매 예방과 치매환자 및 그 가족들의 현실에 대한 여러 콘텐츠들이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는 나아졌다지만 아직 많이 부족하다.이 책은 치매 어머니를 모신 한 여성의 이야기를 담고있다.


치매에 대한 인식도 나아지고 검진도 비교적 자주 하면서 치매를 조기발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모든 질병이 다 그렇지만 치매 역시 조기발견이 중요하고 조기발견 이후에는 그 진행 속도를 늦추는 일이 중요하다.진행 속도를 늦추려면 의료진은 물론 가족들의 협조가 필요하다.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춰야 치매 환자는 물론 주변인들의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적 부담이 뒤따르더라도 치매 환자를 적극적으로 보살필 필요가 있다.치매 환자의 퇴행적인 행태나 치매 환자 가족들의 당혹감은 치매 발견 초기 주변인들을 힘들게 한다.치매 환자 보호자의 희생도 막대하다.그러나 치매의 조기 발견 후 진행 속도를 늦추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였다면 마냥 당황하거나 피하려고만 해서는 안 된다.


치매 환자를 모시는 방법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의견을 다 달리 한다.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더 이상 가정에서 치매 환자를 모시기는 힘에 부친다.그렇기 때문에 요양원으로 보내는 경우가 많지만 그런 경우에도 그 시기나 방법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치매 환자는 그 주변인 특히 보호자의 정신 건강까지 망가뜨릴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는 자신의 형편을 고려해서 요양 방식에 대해 결정해야 한다.집안에서 치매 환자를 모실 경우 치매 환자의 식생활을 비롯한 일반 생활이 과거와 전혀 달라진다는 점까지 고려해야 한다.치매와 관련된 의료시스템, 보험, 사회복지 정책 등 여러 부문에서 치매를 도와주지만 또 아쉬운 부분도 많이 있다.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완이나 개선을 사회적으로 이야기하면서 앞서 경험을 겪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치매가 현실로 닥쳤을 때 좀더 좋은 대처를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혹시 치매 환자나 그 보호자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