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이후 멋지게 나이 들고 싶습니다
조은강 지음 / 메이트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수록 사람들이 어른이 되는 나이가 늦어지고 있다.대학 졸업과 취업 시기도 늦어졌고, 꼭 결혼이나 출산을 어른의 기준으로 잡지 않더라도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나이도 늦어지고 있다.캥거루족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어른이 되는 시기가 늦어진만큼 마흔이라는 나이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물론 그 이전에 평균수명의 증가도 마흔에 대한 인식을 달라기게 하는데 영향을 끼쳤다.어른이 되는 시기가 늦어지고 개인주의가 발달하면서 성숙에 대한 생각도 많이 달라졌다.이제는 꼭 결혼과 출산이 성숙의 기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그보다는 20대 혹은 30대와 달라지되 자기다움을 갖춰나가는 일이 성숙이라고 볼 수도 있다.이 책에서는 저자가 마흔살이 되면서 했던 생각들과 마흔살 이후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마흔살은 끼인 세대다.아직 청춘이라고 볼 수도 있는 20대, 30대와 삶의 저녁이라고 볼 수 있는 50대 사이에서 지금까지 살아왔던 시간과 앞으로 살아갈 시간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는 시기다.이 시기에 보다 내적으로 단단해지면 앞으로가 편해지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머릿속만 계속 복잡해진다.마흔이 이제는 더 이상 인생의 저녁이 아닌 현대사회에서는 마흔도 자기성찰과 배움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과거에는 마흔이면 그동안 쌓았던 경험치를 발휘할 때였다.지금의 마흔은 아직도 경험치를 더 쌓아나가야할 시기다.마흔에 갑자기 닥친 변화들에 당황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심란해하지 말고 성급함을 버려야 한다.물론 제자리에 안주해서도 안 되겠지만 과거보다 쉽게 판단하거나 움직이지 말고 철없는 모습과 달라져야 한다.마흔은 노인이 아니지만 청춘도 아니다.


감정에 휘둘렸던 과거와는 달라지려면 습관을 정리해야 한다.마흔에 낙담하기보다 마흔을 더 나아지는 계기로 삼아보자.낡고 잘못된 생각을 하나하나 고쳐나가다보면 마흔도 바쁜 나이가 될 수 있다.보다 이성적으로 그리고 주체적으로 판단하면서 나아가려면 마흔에도 갈길이 멀다.그동안의 성취에 대해서 교만해지기보다 겸손한 마음으로 살아야 유치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또 어렸을 때의 야망보다는 가치있는 일을 찾아나가는 나이가 되어야 한다.마흔의 나이에도 잘 살아가려면 마흔살이 된 자신에 대해서 젊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된다.젊지 않기 때문에 그 이후의 삶이 더 가치있을 수도 있다.겸손, 진중함, 가치있는 일 추구 등 젊지 않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태도가 있기 때문이다.마흔살이 지난 사람과 마흔살이 되지 않은 사람 모두에게 추천한다.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