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서의 중심 충청감영 공주 - 공주에 새겨진 조선 역사 이야기 ㅣ 공주가 좋다 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엮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충청도라고 하면 대전, 충주, 청주 등을 생각하기 쉽지만 충청도의 오랜 중심도시는 공주였다.조선시대에는 오늘날 도청이라고 볼 수 있는 충청도 감영이 공주에 있었다.조선시대 이전부터 공주는 역사적으로 중심적인 사건이 자주 벌어지던 곳이었다.이 책은 츙청남도역사문화원이 그런 공주에 대한 역사 이야기를 엮어서 만들었다.조선시대 감영이 공주에 설치된 유래를 보면 지리적 이점은 물론 전시 상황도 영향을 줬다.공주가 호서지역의 중심이 되는 과정은 이처럼 극적이었다.조선시대의 역사에서 충청도 공주는 빠질 수 없고, 공주의 발전사를 감안하면 조선시대를 빼놓을 수 없다.물론 공주의 역사는 넓게 보면 백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중고등학교에서 공주로 수학여행을 떠났던 학교도 여럿 있는데 그 학교들은 보통 백제 유적을 보러 갔다.그러나 조선시대에도 여전히 수도 후보지였고 임란 이후에는 감영이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에 계룡산과 한양을 두고 도읍을 어디로 정할지 경쟁했다는 이야기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최종적으로는 한양으로 결정되었지만 계룡산과 공주가 그만큼 요충지였다는 이야기다.공주는 유서 깊은 도시인데다 교통이 편리한 곳이다.현재의 공주는 여기에 더해서 교육도시로 불린다.이런 공주시의 가치는 여러 나라와 군주들이 알아봤다.나라가 위기에 빠졌을 때 공주로 피신한 왕들을 보면 공주는 호서지역을 넘어서 한반도의 피난처 역할까지 했다고 생각된다.이런 공주가 충청감영이 위치한 곳으로 자리잡은 후에는 조선시대 충청도 행정의 전 영역에 걸쳐서 중심지 역할을 한다.감영이 위치한 곳인 만큼 지금의 도지사에 해당되는 관찰사가 공주에 머물며 도정을 처리했다.관찰사의 업무 영역은 매우 넓은데 크게 보면 지금의 시장/군수에 해당되는 수령에 대한 감찰과 백성들을 보살피는 일이다.그러다보니 관찰사는 넓은 도 전체를 돌아다니며 일했고 공주는 임란 이후에 감영 도시가 되었다.이런 관찰사의 업무는 마치 우리가 대중매체 속에서 자주 보게 되는 암행어사와 헷갈릴 수 있지만 둘의 성격은 다르다.
우리나라의 지방행정 체계를 보면 중앙정부와 도 그리고 시군구로 이어진다.조선시대는 중앙정부와 도 그리고 부목군현으로 이어진다.다만 지금은 도지사를 도민들의 선거로 뽑지만, 당시의 관찰사는 왕이 임명한다.따라서 관찰사는 도지사처럼 지방자치를 상징하기보다 중앙정부의 권위와 지방을 이어주는 매개체였다.그런 도지사는 마치 왕처럼 도정 전반을 지휘감독했는데, 조선은 농자천하대지본이라는 말이 상징하듯 농업 중심 국가였고 따라서 관찰사도 농경국가가 원만하게 잘 돌아가도록 이끄는 역할을 맡았다.백성들이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교화하고, 제때 세곡을 잘 낼 수 있도록 농업을 장려하며, 지역의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수행했다.현재 우리나라는 경찰, 검찰, 법원, 세무서 등이 지방자치단체에 속해있지 않지만 당시에는 달랐다.조선 당대에는 일반행정과 복지는 물론 수사, 재판, 세금 더 나아가서 군사 문제에 이르기까지 도지사의 책임이 컸다.
또 공주는 이런 조선시대 충청도 중심지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에서는 부당한 권력에 대한 저항과 현실참여의 도시였다.근대사회로 넘어가는 조선은 여전히 여러 병폐를 안고 있었고 외세의 침략과 간섭에 시달렸다.동학농민운동 최후의 전투인 우금티(우금치) 전투가 벌어진 곳이 바로 공주였다.수천명이 넘는 농민군이 죽은 비극적 전투이기도 하지만 그 저항정신은 의병운동으로 이어졌다.책을 읽으면서 교통의 도시 혹은 교육의 도시로 여겨지는 공주시 역사의 깊이 그리고 지역마다 존재하는 고유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면 그 지역의 배경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받을 수 있음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툴판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리뷰를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