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제국의 성공 시나리오 -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IT 최강자가 되기까지!
다나카 미치아키 지음, 이용택 옮김 / 이너북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플의 시가총액이 전세계 최초로 1조 달러를 돌파했다.제프 베조스는 전세계 1위 부자 자리에도 이름을 올렸다.미국은 플랫폼 기업들의 전성시대다.이런 전성시대를 만든 플랫폼 기업들은 다 각자의 성공방식이 있다.플랫폼 기업을 넘어서 제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성공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회사들은 시나리오를 써왔을까?경영학 전문가인 저자는 그들의 성공에 대해서 자세하게 분석하고 그 한계와 미래에 대해서까지 이야기한다.소비자들은 물론 구직자들에게도 사랑받는 it 4대 기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이야기한다.여러 비하인드 스토리나 인물에 대해서까지 이야기하기 때문에 책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it 플랫폼 기업들은 빅테크 기업이라고도 불린다.왜냐하면 그들은 기술력에 강하게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메가테크라고까지 불리는 테크기업들은 주로 실리콘밸리에 가있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그러나 스탠포드 대학교 등 공과대학-실리콘 밸리-컴퓨터 기술에 기반하는 경향을 보인다.그들의 성공 요소를 서양의 관점이 아니라 동양의 관점에서 분석한게 인상적이었다.손자병법에 나오는 도천지장법으로 플랫폼 기업을 설명한다니, 저자가 일본인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매우 참신했다.사실 손자병법은 아직도 널리 읽히는 전략서다.전세계적으로 성공한 기업들의 미래기술도 이 분석에 기초해서 차근차근 이야기해볼 수 있다.새로움과 네트워크 그리고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it 기업들의 분위기는 매력적이면서 경쟁력 있다.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세계에서 플랫폼 기업들의 강세는 당연하지만 또 한편으로 우려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기업들의 독과점 문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결함들이 사회적 부작용이나 소비자들의 권리 침해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정치적 갈등과도 연관되어 있고, 아마존은 노동자 권리의 문제까지 짊어지고 있다.이런 비판적 관점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빠르게 해결하지 않으면 빅테크 기업들의 전성시대도 계속되지 않을 수 있다.플랫폼 기업들의 성장 원동력은 기본적으로 소비자들의 사랑이었던 만큼 실망시키지 말아야 한다.그 과정에서 가치나 비전과 같은 것을 포함한 커다란 경영전략을 수정해야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진화된 비즈니스 방식은 보다 소비자들을 잘 보호하고 사회규범을 존중하는 쪽으로 바뀌어야 한다.이미 빅테크 기업들을 추격하는 여러 기업들이 있는 만큼 고객들을 위해서 보다 대담하게 바뀌어야 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