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게 너였으면 좋겠다
일홍 지음 / FIKA(피카) / 2021년 4월
평점 :
우리 사회의 행복지수는 높지 못한 편이다.왜 행복지수가 높지 못할까.사람들이 현재 상황에 만족하지 못해서인데 그런 그런 마음은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덕분에 한국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그러나 어느정도 상황이 나아지면 만족해야 할 필요도 있다.왜냐하면 발전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경제가 성장했는데도 계속해서 만족하지 못하면 지금까지 살아온 삶에 대해서 부정하는 마음까지 생긴다.이런 문제는 사실 모든 선진국에서 겪고 있다.경제성장이 정체되면서 무력감, 공허함, 허무주의적 정신 말이다.이 책에서는 하루하루가 힘들더라도 나에게 만족하고, 자존감을 챙기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라고 이야기한다.저자 역시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런 개인적인 경험들이 책의 설득력을 높여준다.
매 순간 자신에게 주어진 것들을 충분하게 여기고 감사하게 생각하면 어떤 순간이라도 우울에 빠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또 그래야 자존감을 지키면서 살아가는데 도움이 된다.자아를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이익보다 자신을 지키는데 집중한다.살아가면서 상처를 받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다시 사랑을 찾는다.상처가 아프지 않아서는 아니다.상처에 굴복하거나 상처를 회피하지 않기 위해서다.뭐든 다시 시작하는 마음이 중요하지 않은가.과거의 기억이 나에게 위로가 되도록,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마음 말이다.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한다.나를 대할 때도 그래야 한다.그러면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진심으로 나를 대하게 되면 보다 다정해질 수 있다.또 결과와 무관하게 그 과정을 다 알기 때문에 다 괜찮다고 말할 수도 있다.지금의 처지와는 무관하게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꿈을 포기하지 말자고 말이다.세상에 대해서 나를 더 자신있게 표현하려면 나를 진심으로 잘 이해해야 한다.그 다음에 나를 믿고 불안을 떨쳐버리자.보다 따뜻한 말을 남에게 해도 좋지만 우선 나에게 하자.내가 잘 지내는지부터 물은 후에 열심히 살아보는 것이다.내 속마음에는 여린 부분이 있다.쉽게 상처받는 부분이 있는 만큼 상당한 정도의 슬픔도 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용기만 있으면 그걸 극복할 수 있다.지금 이 순간을 미래의 준비시간으로 삼는 일도 좋지만 당장의 소소한 행복들에 만족할 필요도 있다.그래야 내가 편안한 사람이 되고 다른 사람과 아름다운 관계를 만들어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힘이 들더라도 주위를 잘 환기하고 나의 소중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더 좋은 나날을 상상해보자.미운 사람을 용서하고, 궁금한 사람에게 안부를 묻고, 고마운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자.내 마음을 기꺼이 표현하는 일에서 내 새로운 노력을 시작해보는 것이다.그렇게 실컷 표현하면 비록 이별하더라도 미련이 많이 남지 않는다.좋은 추억 위주로 남을 수 있다.지금 삶이 힘들거나 지친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27/pimg_721568139292824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27/pimg_7215681392928248.jpg)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