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크린 감정 - 민망함과 어색함을 느낀다는 것은 삶에 어떤 의미인가
멜리사 달 지음, 강아름 옮김, 박진영 감수 / 생각이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우리의 감정 상태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보지 않고 지나칠 때가 많다.부정적인 감정 특히 기억하고 싶지 않은 창피하고 어색한 감정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그러나 어색한 감정은 왜 드는지, 그 감정은 정확히 무엇인지 생각해볼 가치가 있을 수도 있다.왜냐하면 사람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감정이기 때문이다.또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서 잘 알면 우리가 어떤걸 터부시하는지, 왜 피하려 하는지도 알기 쉽다.이 책의 저자는 심리 문제를  주로 다뤄온 저널리스트인데 언론인이라서 그런지 식견이 많고 시야도 넓다.어색함이라는 감정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에세이답게 쉬우면서도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충분히 전달하고 있다.


어색함이란 무엇일까.민망함과 비슷하다.언어의 의미를 따지는 일은 조금만 자세히 들어가도 어려워진다.어색함은 심리에 대한 이야기다.심리학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람은 자신의 예상과 다른 자신의 모습 혹은 다른 사람이 기대한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과 다르면 어색함을 느낀다.물론 이런걸 더 느끼는 성격과 덜 느끼는 성격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그렇다.이런 어색한 감정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정신건강과도 직결되는 문제다.어색함에 대해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부분이 있지만 그래서 이 저널리스트의 탐구정신이 빛난다.아직 학자들이 짚어내지 못한 부분을 예리하게 파고드는 능력도 저널리스트가 갖춰야 되는 능력일지 모른다.모티피아드의 출연을 둘러싼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어색함을 편안함으로 바꾸려면 사람들의 공감능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어색함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민감한 문제다.그들이 실제로 사회에서 편견과 차별의 피해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또 다른 사람들의 눈을 많이 의식하는 사람들에게도 민감한 문제일 수 있다.사람들이 모두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은 혹은 보여줘야 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는 가정 아래에서 보면 어색함은 연기에 뒤따르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다.따라서 억지로 피하려고 할 필요는 없다.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또 사회의 모습이 다양해지면서 인간관계의 애매함과 현실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자신과 세상에 대한 내 인식이 어색해질 때가 자주 있다.그런 상황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이 아니라 감정지능의 우수함 때문일 수도 있다.다만 성장하는 과정에서 이런 문제를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된다.또 어색함이 고독과 우울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어색함을 딛고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해야 된다.심리학 이론과 경험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두루 종합한 이 에세이를 읽다보면 생각이 많아진다.사람은 다른 사람의 감정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감정부터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