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에게 갔었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신경숙 작가의 전작 <엄마를 부탁해>는 많은 사람들을 울렸다.이번 작품도 마찬가지다.단순히 슬픈데서 그치지 않는다.부모의 인생에 대해 잘 이야기해준다.우리 곡절 많던 현대사 속에 서민들의 삶이 어땠는지 다시 알게되는 느낌이다.누구나 사연이 있듯이 자녀에게도 사연이 있다.부모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과 거리를 둘만한 사연 말이다.그러나 그런 사연이 있어도 부모자식 관계는 천륜인 만큼 다시 이어지게 되어 있다.나이든 아버지는 쇠약해지고 과거의 추억에 젖어서 산다.그런 아버지를 보면서 자식의 마음도 편치 않고 미안하다.그러나 부모님에게 미안하다고 말하지 못하고 떠나보내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불효자들이 많은 세상이다.
너 본지 오래다..부모님을 자주 찾아뵙거나 연락을 드려야 되는데 바빠서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부모님을 뵙지 못하는 동안 부모님의 사연은 쌓여가고 우리는 그걸 듣거나 풀 수 있는 시간도 날려버린다.부모님과 보내지 못한 시간을 뒤늦게 후회하곤 한다.추억이 담긴 물건을 보면서 그런 감정에 빠지게 되고, 부모님의 인생이 지난 시대의 일들과 함께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부모님이 아프면 애틋한 감정이 더 커지는데 그때는 이미 늦은 경우도 많았다.책에서도 딸은 아픈 아버지와의 관계가 비교적 소원했다.이 딸뿐일까.자식 걱정으로 아픈 것을 숨기는 부모도 많다보니 그런 경우가 많이 있다.뒤늦게 부모의 상태를 알고나면 이제 시간이 정말 얼마 남지 않는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는 모습을 온 가족이 보면서 추억과 물품을 정리하고 잘 보내드리려 하지만 슬픔이 남는다.아버지를 후광이 비치는 보호자가 아니라 쓸쓸한 중년 혹은 노년 남성으로 보면 미안함과 처연함만이 감돈다.책에서도 늙은 아버지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부분이 있지만 단순한 객관이 아니라 기력이 다해가는 한 남성에 대한 연민이 느껴졌다.자식들을 다 키워서 떠나보낸 부모의 삶이란 무엇일까.마지막을 향해 가면서도 주위를 살피고 자식들을 챙기는 부모의 모습은 눈물을 자아낸다.이제 자식도 부모 없이 못 살 나이는 아니지만, 여전히 부모의 빈자리는 자식의 마음에 헤아릴 수 없는 허전함과 그리움을 만든다.보호자 부모가 아닌 한평생 자녀에게 헌신한 한 남성 혹은 한 여성의 마지막을 보면서 애처롭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25/pimg_721568139288799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25/pimg_721568139288800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