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롱 라이프 - 장수와 신기술의 시대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린다 그래튼.앤드루 J. 스콧 지음, 김원일 옮김 / 클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여러 종류의 변화를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인간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면 수명을 빼놓을 수 없다.또 요즘 많이 이야기되듯 경제적 변화를 이끌고 있는 로봇에 대한 이야기도 같이 해야만 한다.책에서는 장수와 신기술의 등장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한다.저자들은 경영학자인데 보통 경영학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첢 어떻게 하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가만 이야기하지 않고 새로운 시대에 인간의 삶을 더 낫게 만들려면 기업이 무엇을 해야 되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그래서 독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기업의 발전도 결국 인간의 삶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두 경영학자의 애정어린 조언은 꼭 필요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저출산 고령화의 위험을 제일 크게 안고 있는 한국에게 이 책은 큰 의미가 있다.한국의 사회변화도 그 어떤 나라보다 빨랐다.그렇기 때문에 사회의 변화 속에서 개인의 역할에 대한 고민도 더 크게 필요하다.세대갈등도 사회변화가 아주 빨랐기 때문에 더 심각하다. 


인간 수명의 연장과 로봇 등 기계의 인간 노동 대체는 인간에게 어떤 삶을 가져다줄까.어떤 사람들은 지나치게 길기만 하고 병약한 삶 그리고 로봇 등 기계에게 밀려나서 소외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다.또 어떤 사람들은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면서 자유를 누리고 기계가 대체하기 힘든 독보적인 영역을 선점해서 여전히 경쟁력을 유지하는 인간에 대해 말한다.둘중 어느 것이 우리의 미래가 될지는 모른다.그러나 둘중 어느쪽의 길로도 갈 수 있고 중요한 것은 우리의 선택이다.우리 인류는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오랫동안 번영을 추구해왔다.그 번영은 계속해서 추구해야 되는 일이지만 이제는 우리 모두의 번영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한다.또 그 번영은 단순히 물질적 풍요와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정신적 행복까지도 목표로 둘 필요가 있다.심대한 사회변화 속에서 개인의 소외를 막고 성장을 지원하려면 기업, 정부는 어떤 일을 해야 될까.정부 거버넌스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교육제도 또한 미래사회에 걸맞는 변화를 맞이해야 된다.


인구구조의 변화는 일자리와 경제의 문제이지만 당연히 그보다 더 큰 변화를 불러온다.세대간 인식의 차이가 커질수록 공감과 좋은 관계의 중요성이 커진다.창의성과 혁신의 중요성이 커지는데 그것은 기술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사회적 창의성을 발휘해서 벌어지고 있는 계층/세대/인종 간의 거리를 줄여야 된다.기술 발달로 부작용이 생기는 부분은 어쩔 수 없다.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역효과는 시대의 흐름을 뒤집을 정도가 결코 아니다.그렇기 때문에 경계심을 가지고 있되 기술 발달은 계속 촉진해야 한다.과학기술의 개척자가 필요한 것처럼 사회적 개척자도 필요하다.이 사회적 개척자는 누구나 될 수 있다.세상이 빠르게 변하는 와중에도 사회가 인격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하도록 유도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기술발달의 시대에 관계와 공감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인간의 삶에 대한 서사가 바뀌고 있는 현실 속에서 더 나은 서사를 만들어나가려면 변하는 세상보다 더 빨리 움직이고, 미래를 중시하고,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미래사회에서 개인의 삶이 어떻게 바뀔지 걱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