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군주론 - 국민주권시대의 제왕학
양선희 지음 / 독서일가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 조선의 왕들은 경연이라고 해서 일종의 왕 교육을 받았다.이 왕 교육은 유교 교육이면서 동시에 제왕학 공부였다.제왕학은 왕의 언행에 대한 교육이었는데 이 왕을 상대로 하는 교육은 인간으로서 도와 덕을 닦는 일이었지만 왕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 일이었다.이 책에서는 그 제왕학을 일반 시민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시민들이 제왕학을 공부해야 한다고?제왕학이란 옛날 왕들이나 수업하던 고루하고 권위적인 내용이 아닐까?그런 지적도 일리가 있다.그러나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개별 시민들이 모두 투표권을 가지고 지도자를 뽑는다.따라서 어떤 지도자가 나라를 이끄는데 더 적합한 인재인지 판별할 필요가 있다.그리고 전근대 시절과는 달리 시민 한명한명이 모두 자기 삶의 주인이고, 때에 따라서는 사람을 쓰는 기업의 지도자가 되기도 한다.제왕학은 현대 시민들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


21세기에 배우는 제왕학은 과거 제왕학의 내용을 배우면서도 현대사회에 맞게 응용할 필요가 있다.마키아 벨리의 군주론은 고전이지만 현대사회에 그대로 들어맞지는 않는다.선진 민주주의 국가의 모습은 군주론과 안 맞는 경우도 종종 있다.한국 역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나라인 만큼 자국사회에 대한 자부심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제왕학은 과거의 뻔한 이야기가 아니라 보다 실용적인 내용이 될 것이다.


모두가 주권자인 시대에 국민들은 유권자로서 또 한 개인으로서 통찰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특히 무언가를 관리하고 사람을 쓰는 통찰력이 중요한데 이것은 오래 전부터 제왕학에서 다뤄온 것이다.그런 만큼 그간의 지혜를 모두 모아놓은 제왕학 공부를 피할 이유가 없다.리더의 처세에 대한 공부라고 생각하고 책을 읽어보자.리더는 단순히 좋은 사람과는 다를 수 있다.꾀를 잘 쓰거나 재밌는 사람과도 다르다.법과 권력에 대한 냉철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냉혈한이 되라는 것은 아니다.오히려 더 진지한 헌신에 대한 이야기다.온고지신이라고 하지 않던가.과거이 이야기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 싶다면 꼭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