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과학 - 복잡한 세상의 연결고리를 읽는 통계물리학의 경이로움
김범준 지음 / 동아시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에게 최선의 선택이 사회적으로는 최선이 아닐 수 있다는 말을 고등학교 사회 시간에 배운 기억이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각자 최선의 선택을 하고 나름의 선의를 가지고 살지만 내 행동이 복잡한 인간세상에서는 예측하지 못한 결과를 낳기도 한다.사람 세명이 모이면 호랑이도 만들어낸다는 말이 있듯이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은 과장, 오해, 왜곡을 불러일으킨다.우리들 사이의 연결고리가 좋은 방향으로 작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도 찾기 어렵지 않다.저자인 김범준 교수는 통계물리학을 전공하고 복잡계에 대해 연구, 강의한다.복잡계라는 것은 이런 인간세상의 특성에 대한 이야기다.이 복잡계라는 것은 단순히 인간세상만의 문제가 아니라 나비효과라는 말로도 알 수 있듯이 자연에서도 나타난다.

함께 사는 공동체에서 우리들과 우리들의 행동이라는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하는 모습은 보통 인문학이나 사회과학의 영역이었다.물리학은 자연과학인데 물리학적 관점에서도 사람들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니 신기했다.심리학이 인문학, 사회과학이지만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많이 쓰듯이 이제 학문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여러 학문들이 넘나들며 이야기를 주고받는 사이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사람들이 사회 속에서 하는 행동이 의도치 않은 결과를 창발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자주 빚어지는 오해와 집단주의 역시 과학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우정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를 수학적, 과학적으로 풀어볼 수 있다니 새롭다.장님 코끼리 만진다는 말처럼 어떤 한 부분만 파고들면 오히려 대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오독할 수 있다.그런 면에서 통계물리학, 복잡계는 전체적인 모습을 짚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복잡한 세상을 재밌게 관찰하는 일에도 통계물리학을 포함한 이 책이 도움을 준다.우리가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거나 아니면 개인적인 추측만으로 이야기하는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해 이 책은 통계를 근거로, 과학적인 분석 결과를 내놓는다.시간이나 존재 같은 물리학의 기본적인 연구대상에 대해서도 언급하는데, 미래에 대한 기대보다 우려가 더 커지고 있는 지금 읽을 필요가 있는 부분이 아닐까.변화가 빨라지고 다양해지면서 세상이 더 복잡해지고 있다.학문도 세분화되었기 때문에 전문가라고 해도 우리의 미래에 대해 단언할 수 없다.이럴 때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하되 전체적인 그림을 보는 시야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이 책이 그런 시야를 갖추는데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