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들러스 타운의 동양 상점
우성준 지음, 송섬별 옮김 / 아토포스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어쩌면 내가 우울한 건 낯선 나라에 와서가 아닌지도 모른다.어쩌면 이 우울은 언제나 내 안에 있었던 건지도 모른다.이상하게도 이 깨달음이 울적하게 느껴지지 않았다.오히려 희망이 샘솟았다.우울이 정말 내 안에 있는 거라면, 그 우울의 열쇠도 내가 쥐고 있다는 뜻이니까.나는 계속 자기 연민의 웅덩이 속을 헤엄칠 수도 있고, 앞으로 나아갈 수도 있을 것이다.다른 누가 아니라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일이다."(54페이지)

 

새로운 삶을 꿈꾸면서 이민을 간 사람들의 이야기는 문학에서 항상 다뤄지는 주제다.이 책은 아메리칸 드림을 기대하며 미국으로 이민 간 사람들과 이민 2세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영어를 못하고 아시아 물건을 파는 가게를 운영하며 생계를 꾸려나간 이민 세대의 모습을 보며 그 고단함과 복잡함을 느낄 수 있었다.그런 부모 밑에서도 차근차근 성장하며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낙관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남매의 모습이 기특했다.녹록지 않은 상황과 여러 사건사고 속에서도 각자 재기를 발휘해서 사태를 헤쳐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다른 문화를 가진 나라로 먼저 가있던 사람의 변화와 뒤에 이동해서 그 변화를 낯설게 느끼는 부부의 모습, 사춘기 속에서 방황하고 뒤늦게 영어를 배우는 이민 2세의 모습도 이민으로 인한 가족관계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한국 어머니답게 자식을 위한 삶을 사는 여성과 그런 관습을 탈피한 새로운 여성의 삶을 보여주려는 여성의 관계도 눈여겨볼만하다.미국인과의 인연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 부자간의 소통도 재치 있고 솔직하게 잘 풀어내고 있다.스스로를 이상한 가족이라 부르지만 이민 가족이 완벽하게 미국 사회에 융화되는 것에는 시간이 필요하다.어떤 가족이건 비정상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을 수 있을까.

 

이민진 작가의 파친코도 그렇지만 한인 이민자들의 삶을 그려내는 작품들이 나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그들의 삶에서 느껴지는 고충과 희비는 문학적인 가치가 충분함에도 많이 다뤄지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든다.이 책은 특히 부부가 이민을 가서 자녀를 낳은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낳고 기른 자녀들을 데리고 이민을 갔다는 점에서 한국에 대한 추억과 아련함도 작품 속에 잘 녹아 있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