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
강경석 외 지음, 이기훈 기획 / 창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워드 카는 역사가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고 했다.역사는 단순히 기록에만 남아 있는 과거가 아니라 우리에게 교훈과 의미를 주는 대상이다.또 역사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기억과 관련되어 있다.근래의 심리학 연구에서 밝혀졌다시피 인간의 기억은 보고 들은 것을 순수하게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과거와 현재에 영향을 받는다.또 그것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일 경우 정치권력과 이념까지 그 기억을 자신들의 뜻에 맞게 바꾸려고 손을 뻗는다.3.1운동이 현재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으며 3.1운동에 대한 기억은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변해왔는가.이 책은 그 질문에 대한 좋은 대답이다.

 

3.1운동은 나라의 주인이 백성이라는 것 그리고 독립은 조선왕조의 부활이 아니라는 것을 만천하에 알렸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독립은 한민족의 나라를 세우겠다는 것이었다.민주주의, 공화주의, 민족주의의 정신이 잘 드러난다.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라는 민주주의, 나라가 개인의 것이 아니라는 공화주의, 같은 언어와 역사를 가진 사람들과의 관계를 강조하는 민족주의 이 3가지는 지난 촛불시위에서도 보여진 사상들이다.3.1운동 100주년이 더 특별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평화적인 정치적 항의가 성공한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이다.그것이 3.1운동이 가지는 의미의 현재성이다.

 

3.1운동과 관련해서 특기할 일은 매체와 관련된 일이 아닐까.사실 3.1운동이라고 하면 당연히 태극기를 들고 시위하는 것을 생각했을텐데 태극기 사용은 그 시기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다.서울에서는 운동지도부가 태극기를 제국적이라 하여 사용하지 않았다.태극기 없는 3.1운동을 생각하면 어색하지만 고정관념이 아닌 역사적 사실을 채택하자면 그렇다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정치적 집회가 열리려면 사실을 전달하고 태초에는 어느정도의 정치적 조직화가 필요하다.그러려면 미디어를 이용해야 하는데 당시에는 깃발과 신문이 그 역할을 했다.지금은 뉴스와 sns가 그 역할을 맡고 있다.

 

얼마 전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보수정당 내 일부 인사들이 5.18을 왜곡하고 유공자들에 대해 모욕적인 말을 했다는 것이다.비교적 가까운 40년 전의 일에 대해서도 시대와 입장에 따라 기억과 해석이 바뀌며 논쟁이 일어나는데 100년 전의 일은 오죽할까.파란만장한 한국 근현대사에서 3.1운동에 대한 해석도 때때로 바뀌었다.역사의 변곡점마다 3.1운동은 항쟁의 상징으로 대표되었다.

 

3.1운동에 참여한 여성을 생각하면 유관순 열사를 떠올리기 쉽다.유관순 열사는 존경받을만한 인물이 맞지만, 그 이면에는 여성 운동과 많은 의식 있는 여성들이 있었다는 것도 기억하면 좋을 것이다.유관순 열사가 다녔던 이화학당은 물론 각종 여학교의 학생들은 여성도 역사의 흐름에 동참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애썼다.시위에 참여하는 것은 물론 시위에 참여한 여성들을 기록했고, 시위와 그 시대를 여성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글로 남겼다.

 

또 3.1운동은 종교와도 관련이 깊다.3.1운동 당시의 민족대표들은 종교적 대표성을 가지고 있었고, 독립선언서 역시 그들의 서명을 받았다.천도교, 기독교, 불교, 유교(유교는 종교가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편의상 일단 종교로 보자) 등 다양한 종교의 모음이었다.그중 개신교가 3.1운동에 대해 가지는 입장은 정치와 시대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그 이야기 역시 읽어볼 가치가 있다.

 

서정주를 중심으로 한 문학과 3.1운동의 관계는 물론 세계사와 장기적 관점을 고려한 이야기도 들어가 있다.그 당시의 세계사적 맥락은 물론 다른나라의 반제국주의적 항거와도 비교해보면 더 넓은 시야에서 객관적으로 3.1운동을 돌아볼 수 있다.

 

평화와 통일을 지향하며, 내부적 균열을 치유하고, 주변국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아직도 우리에게는 과제로 남아 있다.지난 100년 동안 다 이루지 못한 과제다.3.1운동은 평등, 평화, 통합이라는 메시지를 지금의 우리에게도 주고 있다.그 메시지를 잘 흡수하고 지난 역사를 발판 삼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그것은 우리에게 달린 문제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