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라이 백 - 갑질로 어긋난 삶의 궤도를 바로잡다
박창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9년 2월
평점 :
품절
조현아 전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 조현민 전무의 물벼락, 이명희 전 이사장의 폭언..이런 갑질들은 자기파괴적이고 직위와 인격을 동일시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갑질을 한 당사자에게 득보다는 실이 많고, 또 직급이나 역할의 차이를 인격적인 높고 낮음과 착각했다는 것이다.부사장이 사무장보다 높더라도 그것은 회사 직무 범위 안의 문제인데 마치 상대를 인격적으로 하대해도 된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진 것이다.직업의 차이가 인간의 신분 차이로까지 이어졌던 전근대 사회에나 있을법한 사고와 행동이다.
그런 뒤떨어진 사고방식과 갑질 때문에 피해를 입은 사람이 수없이 많지만 그중에서 비교적 유명한 사람이 바로 박창진 사무장이다.조현아가 어떤 사람인지 그리고 땅콩 회항 사건이 어떤 사건인지 이미 언론을 통해 알려졌다.그러나 사건 당사자인 박창진 사무장이 겪은 일과 감정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왜 아직도 대한항공에 남아서 버티고 있는지는 처음으로 고백하는 것이라고 한다.
박창진 사무장이 꿈을 가지고 입사한 후에 회사의 권위적이고 옹졸한 모습에 실망하고, 회장과 정치인의 갑질은 물론 부당한 강등까지 겪고 그 유명한 땅콩 항공 사건까지 겪으면서 좌절하는 모습을 보고 있으니 슬펐다.기대와 희망이 현실의 부조리함에 부딪혀서 꺾이는 상황을 누구나 겪어보았을 것이다.
여론의 질타와 사법당국의 수사 때문에 고개를 숙이고 물러난 사람들은 슬금슬금 원래의 자기자리로 돌아오기 시작하고, 나가지 않고 버티는 피해자는 그들과 다시 맞닥뜨려야 한다.심신의 고통이 아직 다 잊혀지지 않았는데 그 힘센 사람들과 그들에게 충성하는 사람들의 압력까지 견뎌야 한다.연대를 통해 존엄성을 지키고 상황을 바꿔보려 노력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차갑다.
박창진 사무장의 삶에서 대한항공이 얼마나 큰 기회와 소중함이었는지 알게 되면 대한항공 경영진의 억압적인 태도가 얼마나 뼈저린 상처였는지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박창진 사무장을 멀리서나마 응원하고 우리 사회의 갑을문화 개선을 위해 갑질 추방을 정치인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