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여 잘 있거라 - 극지 기후변화 현장 연구 보고서
피터 와담스 지음, 이준호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변화의 위험성은 널리 알고 있고 빙하가 없어진다는 문제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많이 이야기됐다.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기후변화의 실재나 대처의 필요성에 대해 국제정치판에서는 논란이 분분하지만 우주에서 봤을 때 우리 행성의 북쪽 끝이 흰색이었지만 이제는 (물론 여름에만) 푸른색이라는 것을 보면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


남북극과 기후변화 뿐만 아니라 얼음 자체의 화학적, 물리적 속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이공계열 전공자들에게는 다소 뻔한 이야기일지 몰라도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더 깊은 이해를 돕는다.


온실가스의 온난화 효과를 계산할 때 여섯 개의 온실가스가 가지는 복사강제력을 각각 더해서 그 효과를 구한다.여섯 개는 다름 아닌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수소염화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인데 비중은 이산화탄소가 가장 크지만 메탄은 분자별 기준에서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화 효과가 23배 강하고 무엇보다 온난화로 북극 연안 영구동토가 붕괴되면 메탄이 대량으로 방출될 수 있다.이 위험은 가까운 시기의 지구 기후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또 오존의 파괴로 지탄 받은 염화불화탄소는 수소염화불화탄소로 대체되었는데 수소염화불화탄소 역시 온실가스로 증명되었다. 


기후 변화를 막고 빙하를 지키려면 이제는 탄소 무배출도 너무 늦었다.지구공학을 활용해 되돌릴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에 대한 연구는 이미 반세기보다 더 오래 전에 시작되었고 과학계에서는 1990년대에 합의가 이루어졌다.책임 분배 문제로 인한 갈등 때문에 (매우 온건한)해결책마저 늦게 이행되서는 안될 것이다.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해결 시도가 중요하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