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미술관 역사로 걷다 - 프랑스 혁명기의 다비드부터 자본주의 시대의 반 고흐까지
이동섭 지음 / 지식서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는 절대주의의 한계, 귀족의 몰락, 부르주아의 강세 등 구체제의 위기와 경제적 후퇴 그리고 흉작으로 인한 곡물가 폭등으로 인해 우리가 소위 말하는 프랑스 혁명을 겪었다.1789년 프랑스 혁명 시작부터 1799년 나폴레옹 등극은 물론 1815년 나폴레옹의 몰락과 그 이후 왕정-공화정 대립까지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었다.

 

정치적 혼란을 멀리서 찾을 필요는 없다.우리나라의 일제강점기나 해방직후 문학인들의 삶을 보면 혼란과 고통이 가득하다.예컨대 이태준이라는 소설가를 보면 일제강점기에 문예활동을 제대로 못하다 격렬한 좌우갈등 속에서 번민하다 월북하였다.월북한 후에 몇년 동안 창작 활동을 하는 듯 보였으나 이전의 경력으로 추궁 받고 숙청되어 노동일을 하다 언제 죽었는지도 확인할 수 없다.

프랑스의 다비드라는 미술가의 경우 다행히 죽지 않았고 또 시대의 변화에 이익도 본 사람이지만 동시에 시대의 변화에 밀려나기도 했다.예술적 업적에 예술도 사회의 영향을 받기 마련이지만 특히 시대의 변화가 클 때는 예술가도 편승하거나 거스르는지에 따라 운명이 크게 갈린다.심지어 평가도 엇갈린다.이태준 소설가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 단편소설 작가로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공산주의에 대한 부정확한 판단으로 월북했다고 비난할 수도 있을 것이다.다비드 역시 근대 회화의 아버지라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정치 철새라고 볼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시대의 변화와 미술의 관계가 가장 잘 보여지는 곳이 미술관이다.역사적 배경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만 있다면 미술관이 그런 역사적 사실들을 더 생생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이 책은 미술작품과 미술관에 대한 역사적 이야깃거리들을 풍부하게 풀어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